농식품부, 2세대 '스마트 농업' 전환…소득·경영안전망 구축
농식품부, 2세대 '스마트 농업' 전환…소득·경영안전망 구축
  • 박성은 기자
  • 승인 2024.03.04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4 업무계획'…AI 기반 디지털 혁신 통한 미래성장산업화
K-Food+ 수출 135억달러, 하반기 '공익직불제 기본계획' 마련
농식품부 2024 주요 업무계획 인포그래픽. [제공=농식품부]
농식품부 2024 주요 업무계획 인포그래픽. [제공=농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AI(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농업 전환과 K푸드 플러스(K-Food+) 수출 135억달러 달성에 드라이브를 건다. 또 농업직불제를 비롯한 한국형 소득·경영안전망을 구축하고 가루쌀 등 전략작물 중심으로 식량안보를 강화한다. 

농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 주요 업무계획’을 4일 발표했다. 올해는 △디지털 전환 및 기술 혁신을 통한 미래성장산업화 △농가 소득·경영안전망 구축 △과학적 수급관리 강화 △농촌을 살고 일하고 쉬는 공간으로 전환 △선진국 수준의 동물복지 실현 및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 등 5개 핵심과제를 선정하고 중점 추진할 방침이다. 

우선 디지털 농업 전환의 경우 하드웨어 중심의 1세대 스마트 농업을 AI 기반의 2세대로 바꾸는 게 핵심이다. 온실·축산·노지 등 생산 분야는 생산기술, 방제, 악취제거를 중심으로 우수 솔루션(1100호, 62억원) 및 축종별 사육모델 보급(180억원)에 나선다.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3곳) 구축과 함께 200억원 규모의 전용펀드 및 연구개발을 확대한다. 그린바이오 분야는 연구생산 거점기관을 기존 9곳에서 11곳으로 늘린다. 농산업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층을 위해 농지 공급과 청년농 우대보증, 임대형 스마트팜, 농촌보금자리 등을 대폭 확대한다.  

농식품 수출 및 관련 전후방산업 육성을 위해 주력품목 발굴과 신흥시장 개척에 주력한다. 올해 목표액은 농식품 100억달러, 스마트팜을 비롯한 전후방산업 35억달러 등 총 135억달러로 작년 121억4000만달러보다 11%가량 높게 잡았다. 

농식품부는 한국형 소득·경영안전망 구축과 식량자급률 제고에도 힘쓴다. 올 하반기 중에 ‘공익직불제 기본계획’을 마련한다. 또 올 상반기 안에 농업재해에 대응한 복구지원 개선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업해 내놓는다. 

이와 함께 가루쌀을 비롯한 주요 곡물 자급률 제고를 위해 전략작물직불제 단가 인상 품목을 확대하고 생산단지 및 비축물량을 늘린다. 현장 수요가 많은 대학생 대상의 ‘천원의 아침밥’은 지원단가와 대상을 대폭 넓혔다. 

농산물 가격불안에 따른 생산자, 소비자 애로를 최소화하고자 수급관리는 선제적·자율적 대응체계로 전환된다. 가격이 급등한 사과·배는 올 초 구성한 생육관리협의체를 앞세워 기상 등 불안요인에 대응한다. 또 채소가격안정제 보전비율을 상향해 농가 참여도를 높이고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 가입 및 물량을 확대해 취급 규모를 5000억원 규모로 활성화한다. 
 
농식품부는 새로운 농촌정책 플랫폼인 ‘농촌공간계획제도’를 기반으로 농촌에 외부 인구와 자본 유입이 확대되도록 관련 제도를 도입·정비한다. 농촌 어디서나 기초생활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ICT(정보통신) 기술 등을 활용한다. 대표적으로 복지부와 협력을 통해 비대면 진료를 확대·개선하고 실시간 수요를 반영한 셔틀버스 운영 등 스마트 교통모델을 도입한다.

이 외에 개 식용 종식 등 선진국 수준의 동물복지 실현과 반려동물 연관사업 육성에 적극 나선다. 이를 위해 올 하반기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 법률(안)’을 마련한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디지털·세대·농촌공간 등 3대 전환을 바탕으로 국민에게 최고의 정책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따뜻한 농식품부가 되도록 리더십을 발휘하겠다”고 말했다.

parkse@shinailbo.co.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