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석을 책상으로' 현대차, PBV 기술 자신감…개발방향 첫 공개
'운전석을 책상으로' 현대차, PBV 기술 자신감…개발방향 첫 공개
  • 이성은 기자
  • 승인 2022.09.18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UX 테크데이' 개최…"기술개발 성숙도 올라와"
'UX 스튜디오 서울' 열고 개발단계 전시물 시연
현대모비스가 서울 서초구 ‘UX 스튜디오 서울’에 전시한 ‘모드 변환 콕핏’ 시연 모습. [사진=이성은 기자]
현대모비스가 서울 서초구 ‘UX 스튜디오 서울’에 전시한 ‘모드 변환 콕핏’ 시연 모습. [사진=이성은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지난 3∼4년 간 노력한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사용자경험(UX) 기술 개발에 대한 성숙도가 올라왔다.”

양희원 현대차·기아 제품개발통합담당 부사장이 지난 16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UX 테크데이’에 참석해 미래 PBV의 UX 기술력을 처음 공개하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열린 ‘UX 테크데이’에서 오는 2025년 PBV 전용 모델 양산에 앞서 그룹의 미래 UX 기술을 설명했다. 

현대차그룹은 오는 2025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PBV 전용 모델을 개발하고 2025년 하반기 연간 최대 15만대 생산능력을 갖춘 국내 첫 PBV 전기차 전용 공장을 지을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미래 PBV UX 개발 목표를 차량이 이동되는 시간에 사용자들이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환경 마련으로 삼았다. 자율주행 레벨 3 이상이 적용되는 미래 PBV에서 운전자, 탑승자가 이동 시간을 가치 있게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할 방침이다. 현재 현대차그룹은 UX 개발을 위해 약 15개 계열·협력사, 100명 이상의 엔지니어들이 함께 논의하고 있다.

현대트랜시스가 서울 서초구 ‘UX 스튜디오 서울’에 전시한 ‘다목적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사진=이성은 기자]
현대트랜시스가 서울 서초구 ‘UX 스튜디오 서울’에 전시한 ‘다목적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사진=이성은 기자]

현대차그룹은 또 설명회가 열린 예술의전당 인근에 마련된 ‘UX 스튜디오 서울’에서 그 동안 현대차그룹이 PBV와 UX를 개발 방향성이 담긴 결과물을 공개했다. UX 스튜디오 서울은 소비자를 초청해 UX에 대한 의견을 듣고 이를 상품에 반영하기 위해 만들어진 차량 UX 연구·개발 전용 공간으로 상시 운영된다.

현대차그룹은 우선 현재 개발 중인 PBV 테스트 벅(Test Buck)을 공개했다. 테스트 벅은 차량이나 부품 등의 개발 과정에서 사용성 검증 등을 위해 사전에 제작하는 모형이다.

전시된 테스트 벅은 PBV 초기 개발 과정에서 콘셉트 개발을 위해 나무로 만든 ‘스터디 벅’과 기술이 실제로 구현된 ‘엔지니어링 벅’이 있다. 엔지니어링 벅은 오는 2025년을 목표로 개발 중인 PBV 전용 전기차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공항을 오가는 여행객을 실어 나르는 ‘공항 픽업용 PBV’를 콘셉트로 개발됐다.

이 콘셉트 모델에는 여행객과 사업자 모두에게 최적화된 기술을 대거 반영했다. 조수석 대신 캐리어 거치대를 마련했으며 트렁크 공간 대신 탑승 공간을 뒤쪽까지 넓혀 최대 5명이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일반 승객 외에도 교통 약자의 탑승 편의를 고려해 휠체어가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 폭을 극대화한 도어 시스템 등을 탑재했다.

현대차그룹이 선행 연구하는 결과물도 함께 전시됐다.

현대차·기아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미디어랩이 공동으로 개발한 ‘반응형 PBV 시트 콘셉트’는 시트가 승객의 몸을 알아서 감지한 뒤 체형에 맞게 시트 모양을 만들어준다. PBV에 이 기술을 적용하면 긴 벤치 모양 좌석을 승객 수와 체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는 고도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객 편의성을 높여주는 ‘모드 변환 콕핏’을 선보였다. 드라이브 모드와 오피스 모드, 릴랙스 모드 등 3가지 모드에 따라 조명과 시트 각도, 디스플레이와 조작계 등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형태의 UX로 바뀐다. 드라이브 모드에서 오피스 모드로 바꾸면 앞좌석 대시보드가 확장돼 책상으로 쓸 수 있으며 스티어링 휠(운전대)이 확장된 대시보드 아래 숨겨진다.

현대트랜시스는 ‘다목적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을 선보였다. 교통약자를 위한 생체신호 측정 기술, 유아 동반 승객을 위한 유아시트 외 편의 모듈 탈부착 등 탑승객이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맞춰 실내 환경을 최적화한 10가지의 통합 시나리오 모드를 구현했다.

양희원 현대차·기아 제품개발통합담당 부사장(오른쪽)이 지난 16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UX 테크데이’에 참석해 질의응답하는 모습.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양희원 현대차·기아 제품개발통합담당 부사장(오른쪽)이 지난 16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UX 테크데이’에 참석해 질의응답하는 모습. [사진=현대자동차그룹]

류지성 현대차·기아 바디개발센터장(전무)은 이날 설명회에서 “이 기술들은 2∼3년 뒤 적용 가능한 기술과 이보다 시간이 더 걸리는 기술로 혼재됐다”며 “플랫폼 하나를 갖고 다양성 확보해 여러 고객층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양희원 부사장은 “새로운 경험과 가능성을 체험한 사용자가 미래 모빌리티에 거는 기대는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며 “현대차그룹은 기대에 부응하고 사용자가 중요시하는 가치를 지닌 모빌리티 솔루션 중 하나로 PBV, UX 등 개발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selee@shinailbo.co.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