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스마트화·원하청 상생협력 강화 방안 마련
정부가 조선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유입 촉진에 이어 국내 인력 확대에 나선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9일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 조선소에서 ‘조선업 인력현안 간담회’에 참석해 국내 인력 확대 계획을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생산현장에서 조선업계 현장의견과 애로사항을 바탕으로 인력부족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국내 신규인력 유입 촉진을 위해 구직자 맞춤형 생산교육과 채용지원금을 지급하는 인력양성사업을 통해 현장에 필요한 생산인력을 적기에 공급한다. 지역별 채용설명회, 마이스터고·지역대학 산업특강 등 유치 홍보활동을 진행한다. 거제·군산 등 조선업 밀집 지역에 ‘조선업 현장애로 데스크’를 설치하고 관계부처와 함께 대응한다.
정부는 저가 수주 방지, 원·하청간 상생협력 등 임금구조 개선 대책도 관계부처와 준비 중이다. 한국 조선업이 인공지능(AI)‧로봇 등을 활용한 공정 자동화‧디지털화로 인력난에 대응할 수 있게 지속 지원한다. 산업부는 배관 등 설계 디지털 전환에 25억원, 소조립 생산 지능화에 32억원을 투입한다.
장 차관은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 발맞춰 조선업계도 자발적으로 임금구조 개편, 생산 스마트화 등 산업 체질 개선에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한국 조선업은 지난 2022년 전 세계 발주량 4204CGT(표준선 환산톤수) 중 37%인 1559만CGT를 수주했다. 전 세계 발주량은 전년 대비 22% 감소했으나 한국 시장점유율은 4%포인트(p) 상승했다.
개선된 수주실적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건조돼 인력수요가 대폭 확대됐다. 다만 현장에서는 어려운 작업환경과 낮은 임금으로 인해 인력수급 차질이 크다. 업계에서는 올해 말까지 생산 인력 1만4000명 가량이 부족할 것으로 내다봤다.
조선업계는 “우리 조선업계가 장기간의 침체를 벗어나 최근 2년간 대규모 수주를 통해 3년치 일감을 확보했다”며 “생산해야할 물량은 늘었지만 장기간 이어진 불황으로 다수 인력이 유출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조선업 외국인력 도입 애로 해소방안’을 발표했다. 앞으로 2년간 한시적으로 외국인력 도입 허용 비율을 늘린다는 내용을 담았다. 정부는 외국 인력 도입에 걸리는 비자발급 행정절차 기간을 기존 4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한다. 기업별 내국인 상시근로인력(3개월 이상 근로)를 기존 20%에서 30%로 확대한다. 여기에 ‘숙련기능인력(E-7-4)’ 연간 쿼터를 2000명에서 5000명으로 확대하고 조선업 분야에 400명에 이르는 별도 쿼터를 신설한다.
장 차관은 “현재 국내 조선산업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첫 번째 과제는 차질 없는 생산을 위한 인력난 해소”라며 “근본적인 인력난 해결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작업환경과 임금구조 등 개선을 통해 ‘조선소가 일하고 싶은 직장’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