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디지털 제품 여권 도입…"기업 대응책 마련해야"
EU, 디지털 제품 여권 도입…"기업 대응책 마련해야"
  • 이정범 기자
  • 승인 2024.01.05 09: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협, DDP 관련 보고서 발간…정부 차원 지원 필요
EU의 주요 순환경제 관련 정책 [이미지=한국무역협회]
EU의 주요 순환경제 관련 정책 [이미지=한국무역협회]

유럽연합(EU)이 디지털 제품 여권(DPP) 제도 도입을 추진한다. 이에 맞서 우리 기업들도 선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5일 'EU의 DDP 추진 현황과 시사점'을 발간했다.

보고서에 의하면 ‘디지털 제품 여권’(DPP)은 EU내 유통되는 모든 제품의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수집·저장·공유하는 제도다. 2022년 에코디자인 규제안(ESPR)에 최초로 명시됐다.

DDP에는 원자재 공급, 유통 관련 정보뿐 아니라 제품 내구성, 재활용‧수리 가능성, 재활용 원재료 비율, 환경 발자국 등 제품의 지속 가능성 정보가 포함된다.

2024년 EU 이사회 및 의회에서 ESPR 최종 승인이 발효되면 디지털 제품 여권(DPP) 추진 논의가 본격화 될 전망이다. 

EU DDP 제도 시행에 앞서 주요국은 품목별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독일 전기전자산업협회(ZVEI)는 2022년부터 전자기기에 대한 파일럿 디지털 제품 여권을 구축했다. 스웨덴은 패션‧IT 기업, 관련 협회가 모여 섬유 DPP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중이다.

중국 역시 기업‧산업‧품목별 탄소 발자국 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을 통해 탄소 중립과 DPP 제도에 대비 중이다.

보고서는 EU에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과 공급망 참여 기업의 사전 준비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우리 기업은 △EU DPP추진 동향 모니터링 △공급망 단계별 정보 축적 및 디지털 기술 도입 △탄소발자국 감축, 인권·노동 문제 해결 등 ESG 항목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정부 차원의 △배터리 및 섬유 파일럿 DPP 제작 지원 △중소기업 DPP 대응 지원 및 인프라 구축 △산업별 탄소 발자국 산정 △탄소 배출 관리 플랫폼 구축 △DPP 관련 국제 컨소시엄 참여 및 협력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김희영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DPP는 유럽이 추진 중인 ESG 규제의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을 전망”이라며 “DPP 구현 기술 준비와 DPP에 담길 내용을 우리 기업이 차근차근 준비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jblee98@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