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구속] 충격의 삼성… 불투명해진 다음 행보
[이재용 구속] 충격의 삼성… 불투명해진 다음 행보
  • 신민우 기자
  • 승인 2017.02.17 06: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영혁신 작업, 사업구조 개편 및 투자, 인수합병 등 갈피 못잡아

▲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 씨 측에 거액의 뇌물을 제공한 혐의를 받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6일 영장실질심사를 마치고 서울 서초구 법원을 나서며 차량에 탑승해 있다. ⓒ연합뉴스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에 삼성그룹의 행보가 불투명해졌다.

삼성 내부적으로 그동안 시간을 두고 검토해왔던 경영혁신 작업, 사업구조 개편 및 투자, 인수합병(M&A) 등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하는 분위기다.
 
이 부회장의 구속 직후, 삼성그룹의 지배구조·사업 개편 작업은 사실상 정지됐다.
 
지난해 말 삼성전자는 이르면 올해 상반기 지주회사 전환에 대한 답을 내놓겠다고 밝혔지만, 현재로써는 논의 자체가 어려운 형편이다.
 
삼성전자 지분율이 낮은 이 부회장 입장에서는 경영권 승계를 위해 지배구조 개편은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또 비주력 사업이었던 방위산업·석유화학 부문을 두 차례에 걸친 빅딜을 통해 한화와 롯데에 매각했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은 합병했고, 바이오와 자동차 전장사업 등 새로운 영역에 집중했다.
 
하지만 삼성물산 합병 자체가 이번 특검의 수사 대상에 오르고 이 부회장의 구속 사유로 작용한 상황에서, 이를 포함한 개편 작업은 힘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장기 로드맵 구상에 필요한 대규모 투자와 인수합병(M&A) 역시 보류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이 부회장이 전면에 등장한 2014년부터 약 3년간 15개의 해외 기업을 사들였다.
 
사물인터넷(IoT) 개방형 플랫폼 기업 스마트싱스를 인수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에는 클라우드 관련 업체 조이언트, 인공지능(AI) 플랫폼 개발기업 비브랩스 등을 사들였다.
 
80억달러(96000억원)를 들여 인수하기로 한 미국의 전장기업 하만의 경우 한국 기업의 해외 기업 인수 사례로는 최대 규모다.
 
국내에서는 핵심 사업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한 개 라인을 확장하려면 각각 10조원, 1조원 안팎이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삼성전자가 시설투자에 집행한 비용은 27조원 이상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삼성 관계자는 "임기가 정해진 CEO로서는 대규모 투자와 M&A를 추진하는 데 권한과 책임에 한계가 있다""총수의 결단이 필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신아일보] 신민우 기자 ronofsmw@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