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채무 증가율 11.5%… OECD 35개국 중 7번째
한국 국가채무 증가율 11.5%… OECD 35개국 중 7번째
  • 김가애 기자
  • 승인 2016.10.26 13: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부채 위기 겪은 남유럽 국가보다 빨라… 재정당국“주의해야”

국가채무 증가속도가 국가부채 위기를 경험했던 남유럽 국가들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재정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6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10∼2015년 우리나라의 연평균 국가채무 증가율은 11.5%로 OECD 35개국 중 7번째였다.

예산정책처는 포르투갈(9.2%), 스페인(7.2%), 그리스(5.5%), 이탈리아(3.5%) 등 국가부채 위기를 경험했던 남유럽 국가보다 빠른 속도인 만큼 주의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우리 재정당국 역시 이같은 국가채무 증가속도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송언석 기획재정부 2차관은 “우리나라의 재정여건이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은 사실이지만 채무 증가율이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송 차관은 “재정은 한 번 쓰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다.

일본의 예를 봐도 7년 정도 사이에 국가채무비율이 40%에서 90%로 수직으로 상승했다”며 “재정당국은 경기 활성화를 뒷받침하면서도 재정건전성을 지켜야 하는 양쪽을 다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국가채무를 GDP 대비 45% 이내로 제한하는 내용의 재정건전화법을 제정해 이달 중 국회에 제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국가채무 비율은 선진국에 비해 낮은 편에 속했지만 1인당 국민소득이나 인구 고령화율 등을 동일조건으로 놓고 봤을 때는 오히려 선진국에 비해 높다는 분석도 분석도 나왔다.

2015년 기준 우리나라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일반정부 부채(D2)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44.8%로 집계됐다.

이는 OECD 평균(115.5%)은 물론 일본(230%), 프랑스(120.8%), 영국(112.8%), 미국(113.6%), 독일(78.7%) 등에 비해서도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이들 국가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 비교하면 결과는 확연히 달라진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이 2만7천달러에 도달했다.

1인당 국민소득 2만7천달러 도달 시점 주요 선진국들의 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 비율은 독일 45.5%, 영국 53.4%, 일본 64.6%, 프랑스 66.6%, 미국 71.2% 등으로 우리나라와 격차가 크게 줄었다.

통상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 복지지출이 급격히 증가한다.

이에 따라 인구고령화율(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4%에 도달하는 시점(고령사회)의 국가채무비율을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40.9%(2018년 전망)로 프랑스(1979년·32.6%), 독일(1972년·36.8%) 등보다 높았다.

영국(1976년·50.5%), 일본(1994년·80.1%) 등도 우리나라에 비해 크게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아일보] 김가애 기자 gakim@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