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한국 청년들… 20~30대 소득증가율 0%대
위기의 한국 청년들… 20~30대 소득증가율 0%대
  • 전호정 기자
  • 승인 2015.03.04 11: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대 미만 가구 부채는 11% 증가
50대는 7% 넘어 세대간 격차 확대
▲ 지난해 20∼30대 청년층 소득 증가율이 0%대로 떨어져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 반면 50대는 7%, 60세 이상은 4%대로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중구 필동 동국대학교에서 열린 '2015년 봄 학위수여식'에서 졸업생들이 취업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에서 살아가고 있는 청년들의 살림살이가 그야말로 팍팍하기 이를데 없다.

지난해 20∼30대 가구주 가계의 소득 증가율이 0%대로 떨어져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전·월세금 등 생활비는 계속 오르는데 소득은 늘지 않아 20~30대 평균 부채 증가율은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았다.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삼포세대'도 모자라 이제는 내 집 마련과 인간관계까지 포기하는 '5포세대'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4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가구주가 39세 이하인 2인 이상 가구의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433만9612원으로 전년보다 0.7%(2만9486원) 늘었다.

이런 증가율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낮은 것이다.

39세 이하 가구의 소득은 2013년에는 7.4% 늘었고, 글로벌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은 2009년에도 2.9% 증가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인 점을 고려하면 20∼30대 가구의 소득은 사실상 줄어든 것이다.

20∼30대 가구의 소득이 좀처럼 늘지 않는 데는 청년실업 증가와 고용의 질 악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취업자 수는 53만3000명이나 늘어 12년 만에 증가 폭이 가장 컸지만, 이에 반해 청년 실업률은 9.0%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취업을 한다 해도 비정규직과 생계형 창업 등 질 나쁜 일자리가 많아 소득 수준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지난해 청년 취업자 19.5%는 1년 이하의 계약직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이 이처럼 계속해서 질이 낮은 일자리에 머무른다면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가구주가 30세 미만인 가구의 평균 부채는 1558만원으로 1년 전보다 11.2% 늘었다.

30대의 평균 부채는 5235만원으로 7% 증가했으나 40대와 50대는 각각 0.8%, 0.6% 줄었다.

현재의 20~30대들은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삼포세대'로 불리운다. 하지만 이처럼 경제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내 집 마련과 인간관계까지 포기하는 이른바 '5포세대'가 등장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최근 2030세대 288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연애, 결혼, 출산, 대인관계, 내 집 마련 중 한 가지 이상을 포기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57.6%가 '있다'고 답변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0.2%(이하 복수응답)가 '결혼을 포기했다'고 답했으며 내 집 마련 46.8%, 출산 45.9%, 연애 43.1%, 대인관계 38.7%가 뒤를 이었다.

포기하게 된 이유 중 1위(중복응답)는 ‘모아놓은 돈이 없어서(49.8%)’였다. ‘현재 수입이 없거나 너무 적어서(43.1%)’와 ‘웬만큼 돈을 모아도 힘들어서(40.9%)’가 그 다음 순위였다.

내 집 마련을 포기한 이유로는 ‘어차피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서(73%)’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편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소득 격차는 갈수록 확대되는 모습이다.

20∼30대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0%대에 머무는 동안 50대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495만7167원으로 7.2%(33만3702원) 늘었다.

40대 가구 소득은 482만2494원으로 2.9%(13만7400원)의 증가율을 보였다. 60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81만2187원으로 4.5%(11만9964원)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율 역시 청년층보다 장년층이 주도했다.

50대 취업자 수가 23만9000명, 60세 이상이 20만명 증가하는 동안 15∼29세 취업자는 7만7000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30대 취업자는 2만1000명 감소했다.

노후 대비가 불충분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들이 계속해서 일손을 놓지 않고 있는데다 경기 부진으로 40∼50대 주부들이 대거 생활 전선에 뛰어들어 세대 간 소득 격차가 벌어졌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근로자 평균연령은 44.2세로 전년보다 0.2세 올라갔다. 1974년(36.3세)에 비하면 8살가량 증가했다.
 

[신아일보] 전호정 기자 jhj@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