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진년 금융권 CEO 경영전략㊷] 신창재·조대규 교보생명 대표
[갑진년 금융권 CEO 경영전략㊷] 신창재·조대규 교보생명 대표
  • 문룡식 기자
  • 승인 2024.03.26 13: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주사 전환’ 탄력…하반기 추진 예정
비보험 사업 확장 등 포트폴리오 다각화 속도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 겸 이사회 의장(왼쪽)과 조대규 교보생명 사장. (사진=교보생명)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 겸 이사회 의장(왼쪽)과 조대규 교보생명 사장. (사진=교보생명)

2024년 갑진년 한 해도 대한민국 경제를 둘러싼 환경은 녹록지 않다. 미국이 세 차례 금리 인하를 예고하면서 한국 역시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지만, 여전히 고금리 부담은 남아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인한 우려도 현실화하는 모양새다. 여기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은행을 필두로 금융권에 대한 정부의 고통 분담과 윤리 경영 강화 요구는 거세질 전망이다. 은행 등 모든 금융권이 실적 개선과 건전성 강화 그리고 내부통제 확립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는 공통 숙제를 안고 있는 셈이다. 이에 눈앞에 쌓인 난제 해결을 위한 금융권 CEO의 경영 전략을 집중 조명한다. <편집자 주>

올해 함께 호흡을 맞추게 된 신창재·조대규 교보생명 대표는 올 하반기 지주사 전환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속도를 낼 전망이다. 또한, 생명보험업계에서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비보험 사업을 확장하는 등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한다.

2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전날 조대규 신임 교보생명 대표가 취임했다. 조 신임 대표는 지난 5월 이사회와 임원후보추천위원회에서 차기 최고경영자 후보로 단독 추천됐고, 22일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최종 선임됐다.

교보생명은 신창재 대표 겸 이사회 의장과 조 신임 대표의 2인 각자 대표 체제로 운영된다. 신 의장은 장기 전략과 기획·자산운용을 담당하고, 조 대표는 보험사업 부문을 맡은 방식이다. 교보생명은 2022년 4월부터 2인 각자 대표 체제를 이어오고 있다.

올해 교보생명 주요 목표는 금융지주사 전환이다. 교보생명은 지난해 2월 금융지주사 전환 계획을 발표했고, 올해 하반기를 목표로 종합금융그룹 도약을 위해 손해보험사 등 자회사 인수를 저울질하고 있다.

중요한 시기에 취임한 만큼, 지주사 전환에서 조 대표 역할은 막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조 대표는 2019년 경영기획실장을 맡으면서 신 의장 직속으로 꾸려진 거버넌스관리 태스크포스(TF)팀을 이끌었다. 해당 TF는 교보생명 지주사 전환을 위한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과 미래성장동력 발굴 등 작업을 전담해왔던 주요 부서다.

조 대표가 보험사업 부문을 맡은 만큼 최대 과제는 수익성 극대화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교보생명은 지난해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이 도입된 첫해 489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전년 대비 23.8% 증가한 규모지만, 오랜 기간 2위 다툼을 벌였던 한화생명에 못 미치며 순이익 기준 생보업계 3위로 밀려났다. 4위인 신한라이프도 추격 고삐를 바짝 당긴 상황이다.

더욱이 교보생명이 지주사 전환 과정에서 손보사 인수 등을 고려하고 있는 만큼, 실탄 마련을 위해서라도 수익성 개선은 필수다.

이에 교보생명은 올해 건강보험을 중심으로 보험사업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기존 생보사 주력 상품인 종신보험 수요가 줄어든 데다, IFRS17에서는 건강보험이 수익성 개선에 더 도움이 되는 이유에서다.

조 대표는 취임사에서 “현재 생명보험 산업은 성장성과 수익성이 정체됐고, 기업 경영 전반에 변화와 혁신이 절실하다”며 “보험사업 담당 대표로서 기존 보험사업 개선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창재 의장은 비보험 사업 확대와 경쟁력 강화에 나설 방침이다. 지주사 전환을 고려해 현재 교보생명에 의존하는 수익 구조에서 탈피하고 그룹 내 전체적인 체급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교보생명은 현재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등 계열사를 두고 있지만, 아직 실적은 생보사에 비해 미미한 편이다. 실제 지난해 핵심 계열사인 교보증권과 교보악사자산운용 순이익은 각각 675억원, 193억원에 불과하다. 교보라이프플래닛과 교보문고 등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도 계속한다. 교보생명은 2022년 출시한 통합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 초에는 업계 처음으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서비스를 시행했다.

신 의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생명보험 시장 환경이 급변하고 경쟁구도가 다각화되고 있다”며 “혁신을 통해서만 보험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사업의 성공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아일보] 문룡식 기자

moon@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