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안 통하네…디지털 보험사 ‘만성 적자’
비대면 안 통하네…디지털 보험사 ‘만성 적자’
  • 문룡식 기자
  • 승인 2024.01.25 13: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대면 영업·수익 구조 한계…경쟁력 확보 숙제
(이미지=신아일보DB)
(이미지=신아일보DB)

보험업계서 ‘메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디지털 보험사가 출범 이후 만성 적자에 시달려 맥을 못 추고 있다. 

비대면 영업이 빛을 발하는 은행·증권과 달리, 보험은 상품 구조가 복잡해 설계사나 텔레마케팅(TM) 도움 없이는 가입자를 끌어모으기 어렵다는 한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교보생명 자회사 교보라이프플래닛은 지난해 3분기 128억원 적자를 냈다.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적자 폭이 67억원 확대됐다.

교보라이프플래닛은 교보생명이 일본 온라인 전문 생보사 라이프넷생명과 합작해 2013년 설립한 국내 첫 디지털 생명보험사다. 출범 이후 10년 동안 매년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캐롯손해보험도 4년이 넘도록 흑자 전환 기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누적 당기순손실은 317억원에 달한다. 이 회사는 한화손해보험이 2019년 SK텔레콤, 현대자동차 등과 손잡고 설립한 국내 1호 디지털 손해보험사다.

다른 디지털 보험사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2022년 출범한 신한EZ손보와 카카오페이손보 역시 같은 기간 각각 52억원, 279억원의 누적 적자를 기록했다.

디지털 보험사는 온라인 채널을 통해 비대면으로만 보험 영업을 하는 보험사를 말한다. 보험료의 90% 이상을 전화, 우편, 온라인을 통해 모집해야 한다.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은행권의 인터넷전문은행과 비슷한 결이다.

디지털 보험사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와 금융당국의 빅테크 육성에 힘입어 발 빠르게 시장을 선점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보험업에서 비대면 영업 확대 속도는 예상보다 더욱 더뎠고, 디지털 보험사 성장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은행은 예·적금과 대출 등 소비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가 명확해 비대면 업무 활성화가 비교적 쉬웠다. 증권 역시 모바일 거래 시스템이 활성화된 지 오래다.

반면 보험은 상품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상품별로 보장되는 내용도 복잡해, 가입 시 설계사들의 자세한 설명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상품 구조가 간단한 소액단기보험(미니보험) 위주로 판매할 수밖에 없다는 점도 디지털 보험사 수익성을 낮춘 요인으로 분석된다. 

보험사는 보험사업뿐 아니라 보험료를 전략적으로 운용하는 투자사업을 통해서도 수익을 창출하는데, 미니보험은 보험 기간이 짧아 자산 운용상 어려움이 있고 보험료가 낮은 만큼 이익 창출과 손해율 관리가 어렵다.

실제 디지털 보험사 주력상품은 상대적으로 쉽게 비교할 수 있는 자동차보험이나 여행자보험 등이다.

결국 디지털 보험사들은 흑자 전환을 위해 건강보험, 암보험과 같은 장기보험 판매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금융지주사 계열 디지털 보험사인 신한EZ손보와 하나손보가 여기에 적극적이다.

다만, 판매 채널에 한계가 있고, 이미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대형보험사와 겨루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일반 보험사들이 디지털 수준을 강화해 오프라인·온라인 채널에서 동시 영업을 할 수 있게 됐지만, 디지털 보험사는 비대면으로만 판매 채널이 한정돼 불리한 측면이 있다”며 “상품 경쟁력을 얼마나 확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moon@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