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 내년 '하늘 택시' 뜬다…안전·경제성 확보 '과제'
[신년특집] 내년 '하늘 택시' 뜬다…안전·경제성 확보 '과제'
  • 남정호 기자
  • 승인 2024.01.0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월부터 수도권 지역서 2단계 실증 착수…2025~2029년 2개 노선 상용화
기체·배터리 대량 생산 체계 및 버티포트·항행·관제 인프라 등 구축 필요
어명소 당시 국토부 2차관이 지난 2022년 11월23일 경기도 김포시 아라마리나에서 열린 UAM 비행 시연 행사에서 항우연이 개발한 eVTOL 기체 '오파브'에 탑승했다. (사진=국토부)
지난 2022년 11월23일 어명소 당시 국토부 2차관이 경기도 김포시 아라마리나에서 열린 UAM 비행 시연 행사에서 항우연이 개발한 eVTOL 기체 '오파브'에 탑승했다. (사진=국토부)

정부는 내년 첫 상용화를 목표로 K-UAM 사업을 추진 중이다. 도심 속 항공교통이 우리 눈앞에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이제 2년이 채 남지 않았다. K-UAM 상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과 제도 구축은 어느 단계까지 왔는지, 남은 과제는 무엇인지 살폈다. <편집자 주>

'하늘 위를 나는 교통수단' UAM이 승객을 태우고 도심 상공을 날아다닐 날이 성큼 다가왔다. 올해 8월부터 김포공항과 여의도, 일산 킨텍스, 인천 계양 등 수도권 지역에서 2단계 실증에 착수하고 2025~2029년에는 2개 노선에서 상용 운행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성공적인 K-UAM 상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로 기체, 배터리 개발과 대량 생산 체계 구축, 버티포트 및 항행·관제 인프라 구축, 안전·경제성 확보 등을 꼽았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 2020년부터 'K-UAM(한국형 도심항공교통) 로드맵'을 통해 UAM 상용화를 추진해 왔다.

로드맵을 보면 정부는 내년까지 UAM 비행 실증을 마치고 일부 노선 상용화를 시작할 예정이다. 오는 2030년에는 본격적으로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올해까지 관련 이슈와 과제를 발굴해 법·제도를 정비하고 실험, 실증하는 '준비기'를 마친다. 내년부터 2029년까지는 일부 노선 상용화를 시작하고 도심 내·외 거점과 연계 교통체계를 구축하는 '초기' 단계로 넘어간다. 2030~2035년까지 비행 노선을 확대하고 도시 중심에 거점을 구축하는 '성장기'를 거쳐 UAM 이용 보편화와 도시 간 이동 확대, 자율비행 실현 등을 하는 '성숙기'로 나아간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현재 K-UAM은 1단계 실증을 한창 진행 중이다. 지난해 8월부터 전남 고흥군에 있는 K-UAM 실증단지에서 K-UAM 실증사업 '그랜드챌린지' 1단계를 시작했고 11월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한 eVTOL(전기동력 분산 수직이착륙기) '오파브(OPPAV)가 첫 공개 비행 시연도 했다. 

올해 8월부터 내년 6월까지는 1단계 실증 통과 업체들을 대상으로 수도권 지역으로 자리를 옮겨 2단계 실증에 나설 예정이다. 2단계 실증은 △인천 드론시험인증센터-계양신도시(14㎞) △잠실-수서(8㎞) △김포공항-여의도(18㎞) △킨텍스-김포공항(14㎞) 구간에서 진행할 계획이다.

또 지난해 10월 국회를 통과한 '도심항공교통 활용 촉진·지원법'(이하 UAM법)이 시행되는 4월부터는 발굴한 이슈와 과제들을 토대로 하위법령 등 K-UAM 상용화를 위한 디테일을 잡아갈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금은 실증과 제도 마련, 과제 발굴, 연구·개발 등이 주요 과제로 진행 중"이라며 "(상용화를 위한) 구상을 하고 준비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K-UAM 2단계 실증 노선. (자료=서울시)
K-UAM 2단계 실증 노선. (자료=서울시)

◇ 2035년 이후엔 203개 노선 운행

UAM은 도심 내 항공을 통한 교통수단을 뜻한다. eVTOL을 이용해 활주로가 필요 없고 소음이 작고 배출가스가 없는 도심 친환경 항공 교통수단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UAM과 RAM(지역항공모빌리티) 등을 포괄하는 'AAM(미래항공교통)'으로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상용화에 가장 앞서 있다고 평가되는 조비에비에이션의 기체는 현재 미국 FAA(연방항공국) 상업 비행 허가 절차 5단계 중 3단계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SKT는 작년 6월 조비에비에이션에 1억달러 규모 지분투자를 통해 이 회사 기체의 국내 독점 사용권을 확보했다. 국내기업 중에는 현대자동차와 한화시스템이 UAM 기체를 개발 중이다. 

정부는 K-UAM 로드맵 발표 이후 2021년 'K-UAM 기술 로드맵'과 'K-UAM 운용 개념서 1.0'에 이어 지난해 '스마트+ 빌딩 활성화 로드맵', 'UAM 인증 기준 가이드라인' 등을 내놓으며 상용화를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이들 계획에 따르면 K-UAM 노선과 버티포트(UAM이 이·착륙하는 터미널)는 초기 단계인 2025~2029년 각각 2개, 4개소를 시작으로 성숙기에 접어드는 2035년 이후에는 203개, 52개소로 늘어날 전망이다. 도심 내 버티포트 확대를 위해 건축물 옥상을 활용할 계획이다. 

도심 빌딩 옥상 활용한 버티포트 예시. (자료=국토부)
도심 빌딩 옥상 활용한 버티포트 가상도. (자료=국토부)

◇ 새로운 교통 제도·환경 필요

정부가 UAM 최초 상용화 목표로 제시한 2025년이 점차 다가오면서 UAM 상용화를 위한 과제들도 속속 나타나는 모습이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지난해 11월 자동차전문위원회 제2차 미래모빌리티분과 회의를 열고 'AAM과 통합교통서비스(TaaS) 전망'에 대해 살폈다.

이 자리에서 이승근 항공안전기술원 도심항공항행정책실장은 "예상되는 리스크에 대한 분석과 대책 마련, 산업 초기 안전과 경제성 확보 전략, 신기술에 대한 장기간 육성 정책이 필요하다"며 "특히 안전과 경제성을 충족하는 안전기준 수립을 위해 관련 전문가들과의 협력과 국내 생태계의 유기적인 협력이 중요하다"고 짚었다.

이금진 한국항공대학교 교수는 "운항 및 교통관리에 관해서는 매우 세심하나 필요한 시점에는 자신 있는 의사 결정을 내려야 하고 산업계의 창의력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하며 스타트업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투자 및 사회적 안전장치 제공이 필요하다"며 "새로운 항공교통 패러다임에 걸맞게 운항 및 교통관리에 있어서 기존 틀에 과도히 갇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달 국회에서 열린 'K-UAM 성공적인 상용화를 위한 과제' 토론회에서도 △eVTOL 기체, 배터리 등 개발 및 효율적인 대량 생산 △버티포트 및 충전·정비, 공역, 항행·관제, 교통관리 인프라 조성 △안전·소음 우려 불식 및 생활·경제적 이점 제공 등을 통한 사회적·이용자 수용성 확보 등을 UAM 상용화를 위한 주요 이슈로 꼽았다.

한국항공우주산학융합원 첨단항공우주기술연구소도 "정부에서는 당장 2025년도에 초기 상용화를 시작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지만 현재 UAM이 무엇인지조차 모르는 국민들이 상당히 많으며 특히 상용화 시 안전에 대한 우려를 많이 하고 있다"며 "아무리 훌륭하고 좋은 기술, 시스템이더라도 사회적 수용성이 떨어지면 성공이 불가능하기에 이에 대한 해결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봤다.

전문가들은 현재 세계적으로도 UAM을 상용화한 나라들이 없는 상황에서 한국 역시 이 같은 과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명현 한국교통연구원 항공우주교통연구본부 부연구위원은 "UAM법이 얼마 전 통과돼 4월 시행할 예정이고 실증 사업도 예정대로 진행하는 등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국토부와 민간에서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통과된 UAM법 자체가 미비한 부분들이 있다면 재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가 마련돼 있다"고 말했다.

윤용현 국민대 미래모빌리티학과 특임교수는 "어느 나라도 현재 (UAM 체계가) 상용화돼 운영 중인 곳이 없다. 다 처음 해보는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우리도) 촘촘히 준비해서 불확실성 등을 하나씩 해결하고 있다. 워킹그룹별로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다 준비하고 있고 미리 시뮬레이션해 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south@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