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부터 고용통계 세분화…75세 이상 초고령 별도 집계
2024년부터 고용통계 세분화…75세 이상 초고령 별도 집계
  • 박정은 기자
  • 승인 2022.09.15 10: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재 65세·70세 이상으로 분류…정부 정책 근거자료 활용
(로고=통계청)
(로고=통계청)

2024년부터 초고령층 근로자 고용 통계가 나올 전망이다. 고령층 근로 희망 연령이 점점 올라가는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한국은 저출산이 심각하고 기대수명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보다 3년 더 늘어나는 등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다.

15일 통계 당국에 따르면, 통계청은 2024년 1월부터 고용 통계 연령 구간을 세분화해 75세 이상 초고령 근로자의 고용 현황도 발표한다.

현재 통계청은 고용동향에 고령층 근로자를 65세·70세 이상으로만 분류했다. 이를 앞으로 70∼74세, 75세 이상 초고령 근로자를 따로 분류할 방침이다.

통계청은 이를 위해 지난 7월부터 경제활동인구 조사 표본 규모를 확대했다. 또 해당 조사로 수집된 초고령자 고용 동향은 앞으로 정부 정책을 뒷받침할 자료로 활용한다.

통계청은 고령에도 불구하고 근로를 희망하는 사람이 늘어 세부적인 고용 통계가 매월 필요하다고 판단해 앞으로 고용 통계 연령 구간을 세분화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7월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인구 조사 고령층(55∼79세) 부가 조사에서 올해 5월 기준 고령층 인구(1509만8000명)는 처음으로 1500만명을 넘어섰다.

이 중 68.5%는 앞으로 계속 일하고 싶다는 의사가 있으며 평균 근로 희망 연령은 73세로 집계됐다.

현재 70∼74세 고령층의 경우는 79세, 75∼79세 고령층의 경우는 82세까지 일하고 싶다고 희망했다.

다만 고령층 인구가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평균 연령은 49.3세로 나타났다. 고령층 인구는 평균적으로 73세까지 일하고 싶지만 49세에 주로 일자리를 그만두는 셈이다.

이러한 고령화가 심화하고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드는 인구 감소가 현실화하자 정부도 고령층 고용을 위한 정책 검토에 나섰다.

정부는 고령자 계속 고용을 위한 사회적 논의 작업을 수행하면서 정년 연장이나 정년 폐지, 재고용 등의 방안을 모두 열어두고 검토하기로 했다.

다만 정년 연장의 경우 청년층 고용 상황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로서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7일 방송기자 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고령화 시대에 고령자가 계속 고용되고 더 일해야 한다는 부분에 대해선 많은 사람들이 비슷하게 생각하겠지만 정년 연장 문제로 접근하면 청년 고용과 임금 체계 문제가 얽힌다"며 "이런 문제들 때문에 고령자 계속 고용을 정년 연장으로 쉽게 접근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im565@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