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구직자 "지방 근무, 연봉 1000만원 더 받아야"
청년 구직자 "지방 근무, 연봉 1000만원 더 받아야"
  • 장민제 기자
  • 승인 2022.06.07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상의 수도권 청년 설문조사…취업 시 고려요소 '연봉' 40%
수도권 청년 구직자 지방근무 인식조사.[이미지=대한상의]
수도권 청년 구직자 지방근무 인식조사.[이미지=대한상의]

수도권 청년 4명중 3명은 ‘지방근무’를 기피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인적 네트워크를 비롯해 인프라가 부족한 탓으로 지방근무를 하려면 연봉 1000만원은 더 받아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7일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에 따르면, 수도권 거주 구직활동 청년 3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49.2%가 ‘다소 그렇다’고 답했다. 또 23.6%는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했다. 반면 ’별로 상관없다‘ 거나 ’전혀 상관없다‘는 응답은 각각 22.6%와 4.6%에 그쳤다. 

비수도권 회사에 실제로 입사 지원하는지를 묻자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34.5%에 달했다. 아무리 조건이 좋은 회사여도 지방에 있으면 가지 않겠다는 것이다. ‘가급적 지원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31.6%를 차지했으며, 공기업 등에만 제한적으로 지원한다는 응답도 19.6%였다. ‘지역에 상관없이 지원한다’는 응답은 14.3%에 불과했다.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 이유로는 ‘가족·친구 등 네트워크가 없어서’(60.7%)라는 응답이 1순위로 꼽혔다. 이어 ‘생활·문화 인프라가 열악해서’(59.8%), ‘주거·생활비가 부담돼서’(48.9%) 라는 응답이 주를 이뤘다. 그밖에 ‘원하는 직장이 없어서’(14.2%), ‘성장기회가 부족해서’(6.8%), ‘결혼·자녀교육이 어려워서’(5.0%) 순이었다.
 
서울에 살고 있는 A씨는 “서울은 늦어도 10분만 기다리면 버스가 오는데, 지방은 차 없이 이동도 어렵고 서울에서는 어디든 다 되는 당일배송도 안 된다고 하더라”며 “생활인프라도 부족한데다 가족도 친구도 없으니 지방에 근무하고 싶지 않은 게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청년 구직자들의 지방근무 기피 이유.[이미지=대한상의]
청년 구직자들의 지방근무 기피 이유.[이미지=대한상의]

청년들의 지방 기피 경향은 통계에서도 잘 드러난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출된 청년인구는 약 9만1000명이다. 2010년에 비해 1.7배 이상 증가했다. 비수도권 인구 중 청년 비중 역시 2010년 19.7%에서 2015년 18.8%, 2020년 17.6%로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회사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건을 묻는 질문에서 수도권 청년들은 연봉(36.5%)과 근무지역(28.9%)을 각각 1위와 2위로 꼽았다. ‘수도권에서 근무할 수 있는지’ 여부가 높은 연봉만큼이나 회사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어 ‘워라밸’(21.3%), ‘개인 커리어 개발’(9.3%), ‘회사의 성장 가능성‘(2.7%) 순이었다.

실제 비슷한 수준의 두 회사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각각 위치할 경우 어디로 입사하겠느냐는 질문에 ‘수도권 회사’라는 응답이 98.3%로 압도적인 선호를 보였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무 선호도 차이를 구체적인 수치로 가늠해보기 위해, 앞서 수도권 회사를 택한 청년들에게 “연봉이 얼마나 높으면 지방 근무를 선택하겠느냐”고 질문하자 ‘1000만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2000만원’·‘500만원’(18.6%)이 동일한 응답수를 기록했으며,‘300만원’(9.8%), ‘1500만원’(8.8%) 순이었다. 연봉과 관계없이 아예 지방에 근무할 의향이 없다는 응답도 6.1%였다.

경기 판교에 거주 중인 B씨는 “지방에서 혼자 살려면 주거비와 식비가 별도로 더 들어가고, 주말에는 서울로 왕래해야 해 실제 비용이 더 많이 들 수밖에 없다” 며 “이밖에도 부족한 생활여건이나 연애·결혼에 대한 걱정 등 간접적·심리적 요인까지 감안하면 금전적 메리트는 더 커야한다”고 강조했다.

연봉이 얼마나 더 높으면 지방에서 근무 할 것인지에 대한 답변.[이미지=대한상의]
연봉이 얼마나 더 높으면 지방에서 근무 할 것인지에 대한 답변.[이미지=대한상의]

서울에서 어느 정도 먼 지역에서까지 근무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64.1%가 ‘수원·용인‘으로 답한 반면 그보다 조금 아래인 ’평택·충주‘는 31.9%로 크게 하락했다. 수도권이거나 수도권 인접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서울과의 거리가 일정 수준 이상 멀어지면서 선호가 크게 낮아지는 것이다. 

중부권의 중심지인 ’세종·대전‘(25.9%)의 경우는 ’평택·충주‘와 응답률 차이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남부권 ’대구·전주‘(14.9%)에서는 다시 크게 떨어져 ’세종·대전‘이 수도권 청년들이 근무를 고려하는 지리적인 마지노선으로 나타났다. 거리에 상관없다는 응답은 11%에 그쳤다.

기업규모가 다소 작더라도 수도권에 있는 기업을 더 선호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지방 4대그룹 소속 기업’(26.6%) 보다 ‘수도권 일반 대기업’(73.4%)에 입사하겠다는 응답이 훨씬 높았다. ‘수도권 중견기업’(50.2%)은 ‘지방 일반 대기업’(49.8%)과,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52.8%)은 ‘지방 소재 중견기업’(47.2%)과 선호도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눈높이를 낮춰서라도 수도권 기업에 취업하려는 청년이 그만큼 많다는 것이다.

청년들은 지역불균형 해소를 위한 새정부의 최우선 정책과제로 ’지역 생활여건 개선‘(38.5%)을 꼽았다. 인구를 단순 유입시키는 차원을 넘어 그 안에서 자족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도권과 지방 소재 기업별 선호도.[이미지=대한상의]
수도권과 지방 소재 기업별 선호도.[이미지=대한상의]

다음으로는 ‘주요기업 지방이전 촉진(21.6%)’이 꼽혔다. ‘지역 거점도시 육성(16.9%)’, ‘공공기관 이전 확대(9.3%)’, ‘지역 특화산업 육성(7.3%)’등이 뒤를 이었다.

구직 3년차에 접어든 C씨는 “지방에는 마땅한 일자리가 많지 않은 것도 문제지만, 지방생활의 불편함이 걱정돼 몇몇 좋은 지방기업에도 지원을 꺼리게 된다” 며 “지역 생활 여건을 개선하고 여가·문화시설 등을 유치해야 지역 내부에서 소비가 일어나고 생태계가 살아날 것”이라고 말했다.

전인식 대한상의 산업정책실장은 “지역불균형 해소의 핵심은 결국 미래세대인 청년과 지역경제를 이끌어갈 기업이 스스로 찾아와 정착하고 싶은 지역을 만드는 것”이라며 “청년 눈높이에 맞게 지역 생활여건을 지속 개선하고 기업에 친화적인 제도와 인프라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는 조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별도의 영상클립을 제작해 배포했다. 지방 공기업에 합격했지만 지방근무가 부담되어 합격을 포기한 사례부터, 결혼을 위해 매주 주말 상경한 에피소드까지 지방근무에 대한 생생한 청년들의 목소리를 확인할 수 있다. 상의는 앞으로 조사결과에 대한 별도의 영상클립을 만들어 배포할 계획이다.

jangstag@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