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채권 쌓였다" 지적에 캠코 "금융 취약계층 위해 불가피"
"위험채권 쌓였다" 지적에 캠코 "금융 취약계층 위해 불가피"
  • 천동환 기자
  • 승인 2022.02.12 16: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년 무담보채권 채무조정 실적 2019년 대비 절반 수준 축소
코로나 사태 발발 후 올해 상반기까지 상환 유예 등 특별조치
2020년 6울25일 서울시 중구 은행회관에서 코로나19 관련 취약 개인채무자 재기 지원을 위한 '캠코 개인연체채권 매입펀드 업무협약'이 진행됐다. (사진=금융위)
2020년 6월25일 서울시 중구 은행회관에서 코로나19 관련 취약 개인채무자 재기 지원을 위한 '캠코 개인연체채권 매입펀드 업무협약'이 진행됐다. (사진=금융위)

위험채권이 우려할 수준으로 쌓였다는 언론보도에 대해 캠코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작년 캠코의 무담보채권 채무조정 실적은 2019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축소했고 그만큼 정리하지 못한 부실 채권이 늘었다. 캠코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금융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올해 상반기까지 특별 조치가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12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지난 11일 SBS Biz가 '캠코의 외화내빈(겉은 화려하지만 속은 비었음)…위험채권 7100억원 쌓였다'라는 제목으로 단독 보도한 내용에 대해 해명했다.

SBS Biz는 금융회사에서 발생한 부실 채권을 사들여 2차 채권 회수를 전담하는 캠코가 정리할 채권을 정리하지 않고 미뤄뒀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캠코의 작년 무담보채권 채무조정 실적이 2만700건 총 1409억원 규모로 코로나19 사태 발발 전인 2019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고 밝혔다. 또 캠코가 미뤄준 부실 채권이 파악된 것만 7100억원이고 약정 없이 강제 집행을 미룬 부실 채권까지 합하면 규모가 더 커진다며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부실 채권은 캠코와 정부, 넓게는 모든 국민이 함께 떠안는 셈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캠코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금융 취약계층의 채무상환 부담 완화를 위한 한시적이고 불가피한 특별 조치라고 해명했다.

캠코는 2020년 3월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채무상환 유예 등 코로나19 특별 조치를 6회에 걸쳐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채무자 중 채무조정 약정자 약 7만1000명에 대해서는 채무 감면과 상환 유예, 연체이자 감면 등 7092억원 규모 채무부담을 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채무조정 미약정자에 대해서는 강제 경매 등 적극적 추심활동을 한시적으로 유예했다고 밝혔다.

한편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 당국은 개인채무자 재기 지원을 위해 프리워크아웃(사전채무조정) 특례를 통한 가계대출 원금상환 유예와 캠코 개인 연체채권 매입펀드 신청 기한을 작년 말에서 올해 6월까지 연장한 바 있다.

2020년 6월 금융 당국과 금융권은 코로나 사태 발발 이후 발생한 개인 무담보대출에 대해 과잉 추심을 자제하고 코로나19 관련 개인 연체채권을 캠코에만 매각하기로 협약했다. 당시 협약에 따르면 캠코가 접수한 채권 매입 신청 건에 대해 금융회사는 바로 추심을 중지한다. 캠코는 매입한 개인 연체채권에 대해 채무조정을 시행해 채무자 재기를 지원한다. 채무자의 소득 회복 정도에 따라 최장 2년 상환 유예하고 최장 10년 장기 분할 상환, 최대 60% 채무감면 조치 등도 취한다.

cdh4508@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