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진료·병상수 OECD ‘최다’… 의사수는 꼴찌서 두 번째
한국 외래진료·병상수 OECD ‘최다’… 의사수는 꼴찌서 두 번째
  • 이승구 기자
  • 승인 2023.07.26 09: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지부, ‘OECD 보건통계 2023’ 분석…의사수 1000명당 2.6명에 불과
외래 연 15.7회·병상 1000명당 12.8개…의사·의대 졸업생 수 ‘최하위’
2021년 기대수명 83.6년…자살사망률, 여전히 OECD 1위 ‘불명예’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의대 입학정원 확대를 추진 중인 가운데 우리나라의 1인당 병원 외래진료 횟수와 병상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에서 가장 많지만, 인구 대비 의사 수가 꼴찌에서 두 번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은 자살사망률이 줄고 있지만, 여전히 OECD 1위라는 불명예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보건복지부는 OECD가 이달 초 발표한 ‘보건통계 2023’의 주요 7개 분야, 26개 지표를 분석해 최근 공표했다.

세부내용을 보면 지난 2021년 기준 우리 국민 1인당 의사에게 외래 진료를 받은 횟수는 연간 15.7회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다. 회원국 평균(5.9회)의 2.6배다.

한국의 입원환자 1인당 평균 재원일수는 18.5일로, 일본(27.5일) 다음으로 길었다.

자기공명영상(MRI)과 컴퓨터단층촬영(CT) 이용량은 최근 10년간 증가하는 추세다. 2021년 인구 1000명당 MRI 이용량(80.1건)은 OECD 평균(83.7회)보다 적고, CT 이용량(281.5건)은 평균(161회)을 훌쩍 넘어 회원국 최다였다.

한국·OECD 주요국 의사 수·외래진료 횟수(사진=연합뉴스)
한국·OECD 주요국 의사 수·외래진료 횟수(사진=연합뉴스)

보건의료 서비스와 재화에 소비된 국민 전체의 1년간 지출 총액을 의미하는 경상의료비는 2021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9.3%로 OECD 평균(9.7%)에 비해 낮았다. 다만 1인당 경상의료비의 지난 10년간 증가율(연평균 8%)은 OECD 평균(4.4%)보다 높았다.

의료 인프라 중 병상수는 2021년 기준 1000명당 12.8개로 OECD에서 가장 많았다. OECD 평균은 4.3개다. 급성기 치료 병상은 1000명당 7.3개로, 평균(3.5개)의 2배 이상이다.

그러나 보건의료 이용이 많고, 병상 자원이 풍부한 것에 비해 의료인력 수는 OECD 평균에 한참 못 미치고 있다.

2021년 우리나라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000명당 2.6명으로, 전체 회원국 중 멕시코(2.5명) 다음으로 적다. OECD 평균은 3.7명이고, 오스트리아(5.4명), 노르웨이(5.2명), 독일(4.5명) 등이 의사 수가 많았다.

한의대를 포함한 의학계열(치대 제외) 졸업자는 인구 10만 명당 7.3명으로 이스라엘(6.8명), 일본(7.2명)에 이어 세 번째로 적었다. 평균은 14명이다.

간호사·간호조무사를 합친 간호인력은 인구 1000명당 8.8명으로, OECD 평균(9.8명)보다 적었다. 간호사만 놓고 보면 4.6명으로, 평균(8.4명)과의 격차가 더 크다. 다만 인구 10만 명당 간호대 졸업자 수는 43.0명으로, OECD 평균(32.1명)보다 많았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OECD 국가 평균보다 3.3년 길었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83.6년으로, 최근 10년 사이 3년이 늘어났다. 반면 같은 기간 OECD 평균 기대수명은 79.6년(2011년)에서 80.3년으로 늘어나는 데 그쳐 우리나라와 평균의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다.

회원국 중 기대수명이 가장 긴 나라는 일본으로, 84.5년이며, 스위스(83.9년)도 우리나라보다 길었다.

예방과 치료를 통해 막을 수 있었던 사망률인 ‘회피가능사망률’은 최신 통계인 2020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142명으로 OECD 평균(239.1명)보다 적었다. 우리나라의 회피가능사망률은 2010년 228명에서 꾸준히 감소 추세다.

한국의 자살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4.1명(2020년 기준)으로, 여전히 OECD에서 가장 높았다. 2010년 35명에서 줄고 있기는 하지만 OECD 평균(11.0명)과 비교하면 여전히 2배 이상이다.

15세 이상 인구에서의 흡연율은 15.4%, 1인당 주류 소비량은 연 7.7ℓ로 OECD 평균(15.9%·8.6ℓ)보다 낮은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흡연율과 주류 소비량은 지난 10년간 감소 추세다.

15세 이상 인구 중 과체중과 비만 비율은 36.7%로 회원국 중 일본(27.2%) 다음으로 낮지만, 2011년 30.7%와 비교하면 상승 추세다.

한편,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장기요양서비스를 받는 사람의 비율은 재가 8.1%, 시설 2.6%였다. OECD의 비슷한 요양서비스 평균 이용자 비율(재가 10.2%·시설 3.5%)보다 낮다. 장기요양 돌봄종사자 수는 65세 이상 인구 100명당 4.8명으로, 역시 평균(5.6명)에 못 미쳤다.

digitalegg@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