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당선] 한국 경제 패닉… 불확실성 확대 우려
[트럼프 당선] 한국 경제 패닉… 불확실성 확대 우려
  • 강태현 기자
  • 승인 2016.11.09 16: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로 나섰던 도널드 트럼프가 9일(한국시간) 민주당 대선후보 힐러리 클린턴을 꺾고 대통령에 당선됐다. (사진=AP/연합뉴스)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로 나선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당선된 가운데 우리나라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8일(현지시간) 597일의 대장정 끝에 이날 미 전역에서 열린 대선 투표에서 민주당 대선후보 힐러리 클린턴을 꺾고 대통령에 오르는 파란을 연출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한국 경제가 큰 격랑을 맞게 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트럼프가 그동안 대선 유세를 치르면서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를 노골적으로 주장해 온 만큼 미국의 보호주의 강화로 한국의 주력산업의 수출에 적지 않은 마이너스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세계 경제 불확실성도 커져가고 있다는 점도 불안 요소 중 하나다.

◇ 글로벌 증시는 악재… 안전자산 선호현상도 심화

시장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당선되면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증시에 큰 악재가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놨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9일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이 나란히 폭락했다.

일본 도쿄증시 닛케이지수도 5.4% 하락해 마감했다.

국내 증시가 폭락하는 가운데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값도 급등했다.

이날 오후 12시40분 기준 한국거래소(KRX) 시장에서 금 1g은 전날보다 3.96% 급등한 4만8850원에 거래됐다.

전날 종가는 4만6990원으로 하루 만에 1880원이나 오르면서 하루 기준 가격 상승폭이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투표 결과가 나온 지난 6월24일(2370원 상승)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값은 지난 7월6일 브렉시트 공포가 재부각된 영향으로 종가 기준 역대 최고가(5만910원)를 썼다.

이에 대해 오승훈 대신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당선으로 주가를 비롯한 위험자산의 단기 충격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미국 대선 등 대내외 요인으로 국내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연말 예상되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부 역시 대선 결과에 따라 일부 조정될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 미국 보호무역 강화될 듯… 한미 FTA 재협정 요구할 수도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미국의 자유무역주의는 후퇴하고 강력한 보호주의 조치가 실행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그동안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TPP) 협상으로부터 철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 수입에 대한 고율의 관세부과 등 극단적인 보호무역 조치를 내걸었기 때문이다.

이런 극단적 조치는 의회 협조가 필수적인 데다 세계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큰 만큼 현실화할 가능성은 적지만, 통상정책 방향 자체가 공격적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국내 주력산업 수출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리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산업연구원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철회나 재협상과 같은 극단적 조치가 아니더라도 반덤핑이나 상계관세 같은 무역제한 조치가 한층 강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TPP 협상 재검토와 연계해 서비스산업 조기개방 등 요구가 증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도 앞서 미국 대선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에서 “반덤핑, 세이프가드 등 무역구제 조치 요구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트럼프 당선 시 각종 수입규제가 강화되는 것은 물론 한미FTA의 협정 개정을 요구해올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 정부 컨트롤타워 역할 필요… 변화에 대응해야

전문가들은 세계적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에 정부가 컨트롤타워를 잡고 미국의 통상정책 변화에 대응하고, 단기적인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대응을 위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로 수입 규제가 강화될 수 있는 만큼 미국 내 제품 생산이 어려운 핵심소재 등 중간재 수출을 늘리는 쪽으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자동차와 전기전자 업종은 타격을 피할 수 없지만 중간재 제품은 보호무역주의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것”이라며 “기술력을 갖춘 고품질 중간재 제품을 확대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단기적으로 자본 유출이 확대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이를 제한하는 조치도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국제 자본시장 변동성이 심화 되면서 자본이 국내에서 유출될 가능성이 크다”며 “현재 거시 건전성 3종 세트로는 부족하다는 판단이라 단기 자본 유출입을 좀 더 제한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신아일보] 강태현 기자 thkang@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