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 상시대응 강화… 농업 가뭄지도 제작
가뭄 상시대응 강화… 농업 가뭄지도 제작
  • 온라인뉴스팀
  • 승인 2015.12.01 18: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 '농업·농촌부문 가뭄대응 종합대책' 보고

▲ 자료사진. ⓒ연합뉴스
가뭄이 발생하고 나서 사후에 하는 응급 복구가 중심이었던 정부의 가뭄 대응 체계가 상시 대응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바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농업·농촌부문 가뭄대응 종합대책'을 1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농식품부는 상시 가뭄 대응책으로 가뭄을 예측해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농업가뭄지도'를 격주로 제작해 발표할 계획이다.

가뭄 관련 종사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저수율, 강우량, 유효토양수분량, 현장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지도를 만든다. 지도에는 각 지역 가뭄 상황이 관심·주의·경계·심각 4개 단계로 표시된다.

농업가뭄지도를 바탕으로 가뭄 발생이 예측되면 농식품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농업가뭄협의회를 열어 가뭄대책상황실 설치 여부 등을 결정한다.

3개 시·도, 10개 시·군, 5천㏊ 이상 논·밭이 가뭄 주의 단계가 되면 농식품부에 가뭄대책상황실을 설치하고, 경계 단계가 되면 국민안전처에 중앙가뭄대책본부 설치를 요청할 수 있다.

매년 10월 1일 저수지별 저수량과 강수 상황을 점검해 저수율이 낮은 저수지는 강수 예측 시나리오에 따라 준설, 양수 저류, 관정개발 등 지역 실정에 맞게 용수 확보 대책을 펼친다.

아울러 해마다 3월 1일에는 농업인에게 모내기 일정 등을 받아 수로별로 급수해 낭비되는 물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가뭄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농업용수 확충과 물 이용 효율화에도 주력한다.

4대강 하천수 활용, 저수지 저수용량 확충 등을 통해 심각한 가뭄에도 용수 공급이 가능한 논인 수리안전답 비율을 현행 60%에서 8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논보다 가뭄에 취약한 밭 용수 공급률은 18%에서 30%까지 높인다. 가뭄 상습지역 밭 15만㏊에 용수공급계획을 우선 적용하고, 고랭지배추 주산지인 강원 안반덕 지역에 내년까지 63억원을 투입해 양수장과 저수조를 설치한다.

또 지능형 물관리 자동화사업 확대와 노후 저수지·양수장 개보수 등으로 물 관리손실률을 35%에서 25%로 낮추고, 버려지는 논물을 재활용해 농업용수 반복 이용률을 15%에서 30%로 개선할 예정이다.

이 같은 가뭄 대책을 추진하기 위해 농식품부에 농업가뭄협의회와 농업가뭄센터를, 한국농어촌공사에 농업가뭄지원단을 각각 설치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기후 변화로 우리나라 물 소비량의 48%를 차지하는 농업·농촌지역에서 가뭄 피해가 빈번해져 농업용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신아일보] 온라인뉴스팀 webmaster@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