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식 의원 “해외 유입 바이러스 감시체계 허술”
김제식 의원 “해외 유입 바이러스 감시체계 허술”
  • 이영채 기자
  • 승인 2014.10.12 10: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볼라 등 몇몇 바이러스 외 기타 바이러스 진단조차 못해"

▲ 보건복지위원회 김제식 의원
[신아일보=서산/이영채 기자] 해외유입 바이러스에 대한 감시체계가 허술해 감염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제식(새누리당, 서산·태안) 의원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국내 감염병 검역시스템으로는 에볼라 바이러스 등 몇몇 바이러스 이외, 치사율이 높은 기타 바이러스에 대해선 감별진단 조차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 2014: About vector-borne diseases) 보고에 따르면 모기 및 절지동물을 매개로 전파되는 바이러스는 현재까지 15종 이상이 확인됐으며, 매개체 서식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분포 범위가 넓어지고 전파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최근 5년간 질병관리본부에 신고 접수된 해외발생 바이러스 질환 총 2,990건 중 실험실 진단을 통해 원인병원체를 확인한 사례는 뎅기열 715건, 뇌염(웨스트나일열) 1건, 치쿤구니야열 2건 등 총 718건(24%)으로 진단을 통해 감염이 파악된 경우 신속한 조치를 통해 전염을 막을 수 있었다.

그러나 질병관리본부가 진단 가능한 바이러스는 총 5종에 불과해 검역체계에 구멍이 있다는 지적이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해외유입 열성 및 뇌염바이러스 질환은 모기, 진드기 또는 설치류를 매개로 전파되는데 치사율이 15%~90%에 이른다.  신종플루의 치사율이 최저 0.2%에서 최고 0.6%이고, 사스(SARS)가 9%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대단히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해외유입 바이러스는 특별한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조기 탐지를 통한 방역이 가장 유력한 관리 수단이다.

▲ 다음은 국내기술로 진단이 불가능한 해외 유입 바이러스 질환 사례

△ 아프리카에서 들쥐 등으로 인해 발생해 사람 간 혈액, 체액,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라싸열'의 경우 연간 10만명에서 30만명 감염자 발생. 치사율 30~50%

△ '마버그열'의 경우 치사율이 25%에 이르며 환자의 혈액, 구토물과 체액 등을 통해 전염되면 환자 보호자들 중에 다수가 감염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

△ '크리미언-콩고 출혈열'의 경우 치사율이 50%에 이르며 감염되면 혈관계통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하기 때문에 피를 토하며 곧바로 사망 가능한 바이러스. 크리미안 반도에서 발생하고 진드기를 통해 전염.

△ '리프트밸리 출혈열'은 아프리카, 아라비안반도에서 모기, 흡혈곤충으로 인해 발생해 혈액, 체액,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데 증상 발생 후 1주일 이내 사망. 2008년 수단에서 700명 감염자 발생. 치사율 50%

△ 미국에서 1970년대 중반에 발생한 '세인트루이스 뇌염'의 경우 모기를 매개로 발병하여 2,500명 감염자 발생

△ 2014. 5 동남아시아에 발생한 'ZIKA열'로 인해 1,200명 감염자 발생

국내에는 이러한 감염병에 대한 진단법이 없어 국내 유입시 대부분 불명열(unknown fever,뇌염)로 진단되어 정확한 감시가 불가능하다. 실제 지난 5년간 해외여행 귀국 후 진단을 의뢰한 환자 2,990건 중 2,272명(76%)이 불명열(뇌염)로 진단된 바 있다.

이와 관련 김제식 의원은 “에볼라열의 경우에도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 출혈열이 발생한 이후 올해 4월부터 검역을 하기 시작했다”면서 “만약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에볼라가 뭔지도 모른 채 국내 유입을 지켜봐야 했을 심각한 상황 이었다”고 밝혔다.

또 김 의원은 “에볼라로 인해 이미 4,0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환자가 발생한 이후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한다면 이미 늦다. 미국의 질병관리본부에 해당하는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는 해외유입 불명 뇌염 및 고위험군 바이러스 18종에 대해 검진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소개하며 “우리도 라싸 바이러스나 마버그 바이러스처럼 치사율이 높은 고위험 바이러스의 국내유입 이전에 ‘국가진단 및 감시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