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동계올림픽 특구 지정>평창·강릉·정선 5개 특구 11개 지구 개발
<평창 동계올림픽 특구 지정>평창·강릉·정선 5개 특구 11개 지구 개발
  • 기획팀
  • 승인 2014.01.12 13: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32년까지 2단계 걸쳐 3조3063억원 투자
 
   
▲ 지난해 5월3일 오후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엠블럼 선포행사에서 축하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지역 내 총생산 10조4683억↑·26만여명 고용유발 효과
아시아 동계스포츠 메카도시·건강휴양도시 조성 목표

정부와 강원도가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연계해 관광·문화·주거·산업 기능이 융·복합한 ‘올림픽 명품도시’ 조성을 목표로 준비한 동계올림픽특구가 본격 개발된다.

올림픽특구는 2018년까지 1단계, 2032년까지 2단계로 국비 3641억원, 지방비 2828억원, 민간자본 2조6594억원을 투자한다.

평창과 강릉·정선 등 3개 시·군의 5개 특구, 11개 지구의 총 27.4㎢를 개발한다. 여의도 면적 2.9㎢의 9.5배 규모이다.

5개 특구는 평창군 대관령·진부면의 건강올림픽특구 5개 지구 16.8㎢, 강릉시 교동 일대 문화올림픽특구 2개 지구 2.8㎢, 평창군 봉평면의 레저·문화창작특구 2개 지구 3.7㎢, 강릉시 옥계면의 금진온천휴양특구 1개 지구 0.2㎢, 정선군 북평면의 생태체험특구 1개 지구 3.9㎢이다. 주요 사업은 올림픽지원 및 주거·도시경관사업 각각 7개, 관광진흥·개발 21개 사업, 교통·생활인프라 5개 사업 등 40개 사업을 추진한다.

국토연구원의 연구결과 올림픽특구 지정 및 조성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는 20년간 지역 총생산 10조4683억원 증가와 26만4390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있다.

특구 조성은 경기장 등 올림픽시설 투자와 함께 올림픽을 전·후해 개최지역은 물론 인접지역과 국가 경제 성장을 이끌 동력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정부가 보증하고 지원하는 경기장과 철도, 도로건설 등 대회 관련 시설보다 상대적으로 민간투자에 의존해야 하는 특성상 준비가 부족한 올림픽 숙박시설 등 관광 인프라 확충 등 부문에 있어 민자 유치의 기폭제가 될 전망이다.

 

 

 

5개 특구 11개 사업지구로 올림픽특구는 입지특성과 보유자원, 올림픽대회 시 기능 등에 따라 5개 특구, 11개 단위개발 사업지구로 나누어 개발한다.

평창 건강올림픽특구와 강릉 문화올림픽특구는 종합특구로, 봉평 레저·문화창작특구와 금진 온천휴양특구, 정선생태체험특구는 기능특구로 개발을 추진한다.

▲ 평창 건강올림픽 종합특구(16.8㎢, 5개 지구) = 아시아 동계스포츠 메카도시 및 건강휴양도시 조성을 목표로 조성한다.

알펜시아리조트를 중심으로 개·폐회식장과 선수촌, 국제방송센터 등 올림픽시설과 연계해 ‘국제회의도시’ 지정을 추진한다.

아시아 최대 목장인 삼양목장을 중심으로 1차(목축)+2차(낙농제품)+3차(관광)산업이 결합한 6차산업으로 시도하는 대관령 자연순응형 휴양단지 조성계획이 눈여겨 볼만하다.

▲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 강릉의 전통과 문화·예술 기반 위에 동계올림픽을 결합한 사계절 문화·관광거점으로 조성한다.

빙상경기장과 올림픽아트센터, 지구 내 위치한 종합운동장과 문화예술관 등 기존 시설을 활용해 강릉지역 동계올림픽 핵심지구가 될 전망이다.

올림픽 관광·숙박지구로 올림픽 기간은 물론 이후에도 동북아 사계절 관광거점으로 개발한다.

▲ 평창 봉평레저·문화창작특구 = 보광휘닉스파크와 인근 이효석 문화마을을 대상으로 수도권 시장을 겨냥한 레저·엔터테인먼트·문화예술공간을 조성한다.

효석 문화예술촌과 창작공방 체험관, 예술인촌, 플라워가든 조성, 봉평시가지 정비를 구상 중이다.

▲ 강릉 금진온천휴양특구 = 민간자본을 유치해 임상효과가 입증된 해양·온천자원을 활용, 사계절 스포츠의료, 관광기반의 복합휴양단지를 조성한다.

올림픽대회 시 선수단 숙소 및 재활센터로 활용하는 등 외국인 의료관광산업의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 정선생태체험특구 = 우수한 산림자원의 활용과 본존을 위해 산악캠핑장과 수목원, 생태체험·교육시설, 공공편익 시설 등이 들어선다. 경기장 건설에 따른 보상주민 이주단지 조성도 계획하고 있다.

-올림픽 개최 전 1단계 마무리

문화체육부장관은 앞으로 올림픽특구 지정을 승인하고서 관보에 고시한다.

이후 도지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14일 이상 올림픽특구 종합계획 열람 공고, 특구 지형도면 확정 등의 절차를 거치면 특구 효력이 발생한다.

도는 올림픽특구 효력이 발생하면 특구별 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 승인 등의 개발에 들어간다.

정부와 도는 사업자 지정과 실시계획의 수립 및 승인 등 특구개발을 위한 후속조치에 행정력을 집중해 올림픽 개최 전 1단계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문체부는 도와 함께 개최지역의 토지거래 허가구역 해제 절차를 신속히 추진해 경기장 건설과 특구조성 등 동계올림픽 준비에 따른 재산권 행사의 제한을 감내한 지역주민의 고통을 덜어 줄 후속조치를 마련할 방침이다.

▲ 정홍원 국무총리가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평창동계올림픽 지원위원회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올림픽 연계 지역발전 전략

올림픽특구는 국내는 물론 세계 최초로 시도하는 올림픽과 연계한 지역발전 전략으로서 대회 기간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는 참가자와 관람객들의 수용태세를 위한 민간투자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경기장과 진입도로 등 대회관련 시설의 사후활용도를 높이는 효과도 있다.

도는 이와 함께 개최지역의 정주환경을 개선하고 활력을 넣어 그리스 아테네와 캐나다 밴쿠버 사례와 같이 올림픽 이후 과잉투자에 따른 재정악화 등의 우려를 상당 부분 불식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조규석 도 동계올림픽추진본부장은 “특구조성 효과에 대해 국제올림픽위원회 등 국제사회에서 높이 평가하는 등 결과를 예의주시하고 정부도 국제행사와 접목한 새로운 지역발전 모델로 집중 육성할 의지를 밝히고 있다”며 “특구개발을 위한 후속조치에 행정력을 집중, 개발 효과의 조기 가시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