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부동산 공모펀드 재구조화 펀드 조성 '제자리'
해외 부동산 공모펀드 재구조화 펀드 조성 '제자리'
  • 이민섭 기자
  • 승인 2023.12.26 09: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제 기준 마련 난항에 투자자 자기책임 원칙 훼손 비판도
(사진=신아일보DB)
(사진=신아일보DB)

해외 부동산 공모펀드 재구조화(리파이낸싱)를 위한 펀드 조성 논의가 답보 상태다. 투자자 자기책임 원칙 훼손 등 구제 명분이 없다는 비판마저 나오는 가운데 업계 내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해 흐지부지될 상황에 직면했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투자협회는 업계에 해외 부동산 공모펀드 리파이낸싱 펀드 조성 관련 논의를 진전시켜줄 것을 요청했다.

앞서 해외 부동산 공모펀드와 관련해 일부 운용사, 판매사는 리파이낸싱 펀드 조성 건의안을 금투협에 제출했다. 다만, 건의안은 아이디어 수준에 그치고 협회가 내용을 보다 구체화시켜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리파이낸싱 펀드 조성에 투자자 이해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만큼 추진동력을 얻기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이 관측된다. 펀드를 조성하더라도 특정 펀드부터 구제할 것인지 기준을 세우기 쉽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여기에 투자자 자기책임 원칙 훼손도 또다른 문제로 지적된다. 펀드는 손실을 보전해주는 성격이 강해 업계 내부에서도 리파이낸싱 펀드 조성에 부정적 의견을 가진 운용사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 부동산 공모펀드 손실 우려는 올해 국정감사에서 다뤄지기 시작했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해외 부동산 공모펀드 판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 해외 부동산 공모펀드에 투자한 일반 개인 투자자는 2만7187명이다. 이들의 전체 투자 규모는 1조478억원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오는 2024년 만기가 돌아오는 펀드 투자 규모는 8747억원이며, 개인 투자자 수는 2만3084명에 달한다.

더욱이 최근 1년새 글로벌 고금리 기조 장기화 영향에 따른 부동산 경기 침체, 재택근무 확대에 따른 오피스 매매가 급락 등이 맞물리며 관련 펀드 대부분이 손실 위기에 놓였다.

이에 일부 운용사, 판매사 등을 중심으로 펀드 조성금을 출자해 해외 부동산 펀드 만기를 연장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기관 투자자 중심의 사모펀드는 추가 출자로 리파이낸싱, 대출 만기 연장이 가능하지만 개인 투자자가 모인 추가 자본 출자는 결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minseob2001@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