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내부서도 '메가시티 서울 구상' 반발… "김포의 서울 편입은 정치쇼"
與 내부서도 '메가시티 서울 구상' 반발… "김포의 서울 편입은 정치쇼"
  • 강민정 기자
  • 승인 2023.11.06 16: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선 출신' 지자체장 유정복·김태흠 "정치공학적 포퓰리즘"
여론조사서도 절반 이상 '반대'…"한계 드러난 근시안 정책"
김동연·오세훈·유정복 16일 3자회동…'김포 서울 편입' 논의
지난 19일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인천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이 김교흥 위원장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19일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인천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이 김교흥 위원장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집권여당인 국민의힘이 김포를 서울시에 편입하는 '뉴 시티 프로젝트'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여당 내에서도 반발이 점차 거세져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국민의힘 소속 유정복 인천시장은 6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에 대해 "정치공학적인 '포퓰리즘'"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유 시장은 "김포시의 서울특별시 편입 주장은 제대로 검토도 안 됐고, 국민적 공감대도 없는 정치공학적인 표퓰리즘일 뿐이다"며 "선거를 5개월여 앞두고 신중한 검토나 공론화 없이 '아니면 말고' 식으로 이슈화하는 것은 국민 혼란만 초래하는 무책임한 일이다"고 힐난했다.

이어 "'국가 대개조'라고 표현될 정도의 중차대한 사안이  지방행정체제 개편은 선거 포퓰리즘으로 추진해서는 안 된다"고 거듭 반발했다.

같은 당 김태흠 충남지사도 기자회견에서 "서울이 아닌 지방 메가시티가 먼저다"면서 "그런 다음에 소위 수도권과 지방의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 지방 시대 구현을 위한 계획을 서우는 것이 먼저다"고 지적했다.

반대 의사를 표한 유 시장과 김 지사 모두 당내서 3선을 지낸 중진 의원으로, 김기현 지도부 역시 이들의 비판을 완전히 배제하기에는 다소 부담이 따르리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야당 소속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김포시의 서울 편입은 정치쇼'라고 밝힌 유정복 인천시장의 발언에 대해 "옳은 말을 했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소신을 얘기한 것으로 '같은 생각'이다"라고 했고, 오 시장에 대해서는 "신중할 수밖에 더 있겠나. 국가 전체 차원에서 국토균형발전, 지방자치, 지방분권 측면에서 크게 생각하실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 오세훈 서울시장, 유정복 인천시장이 오는 16일 만남을 갖고 '김포 서울 편입' 논란 등 수도권 공동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앞서 이날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병수 김포시장은 첫 공식 면담을 갖고 김포시의 서울 편입 효과와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김포시 서울 편입 공동연구반'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이와 별개로 서울시는 시민의 삶의 질에 미칠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해 서울은 물론 국가 경쟁력까지 높이는 방안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별도의 '동일 생활권 삶의 질 향상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김포를 비롯한 주변 도시 편입 등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를 추진할 방침이다.

국민의힘은 김포시민의 의견을 전적으로 받아 추진한다며 당위성을 강조했지만, 응답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반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지난 5일 공표돼 향후 여론도 주요 변수가 됐다.

알앤써치 여론조사(지난 1~3일, 전국 성인남녀 1008명, 표본오차 95%에 신뢰수준 ±3.1%p, 응답률 1.9%,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김포-서울 편입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55.5%(매우 반대 37.2%, 반대하는 편 18.3%)으로 나타났다. 

특히 편입과 연관 있는 서울·경기·인천 모두 반대 비율이 60%을 초과해 '수요 없는 공급'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 모양새다.

이처럼 당내 지지에 균열이 가고 여론이 탄탄하지 않아 추진 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창환 정치평론가는 본지와 통화에서 "총선용 단기 이슈였다"며 "단기간 국면 전환용으로 주목을 끌고, (10.11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용산 책임론'을 벗어나는 데에는 도움이 됐지만, 한계가 너무나도 드러난 근시안적인 정책이었다"고 비판했다.

mjkang@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