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진단키트의 그늘…제약바이오, 연구개발 차질 호소
코로나19 진단키트의 그늘…제약바이오, 연구개발 차질 호소
  • 김소희 기자
  • 승인 2020.04.28 12: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출입 지연, 원료 수급불안, 원자재비 상승 등으로 곤혹
업계 "세제혜택과 규제 완화 등 정부의 확실한 지원 필요"
제약바이오업계는 위기에도 정부의 제대로 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원활한 의약품·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확실한 혜택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이미지=연합뉴스)
제약바이오업계는 위기에도 정부의 제대로 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원활한 의약품·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확실한 혜택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이미지=연합뉴스)

제약바이오업계는 ‘코로나19’ 진단키트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러브콜이 쏟아져 바쁜 한편 수출입 지연, 연구개발(R&D) 차질, 원재료 수급 불안 등의 악재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제약바이오산업 전반의 침체된 분위기는 일부 ‘코로나19’ 관련 테마주의 주가 급등이란 그늘에 가려진채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을 받지 못한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2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은 ‘코로나19’에 고전하고 있다.

한국의 진단기술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속에서 주목을 받았고, 이는 ‘K-바이오’의 위상을 높이는 역할을 했다. 

특히 씨젠, SD바이오센서 등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긴급 사용승인을 획득한 ‘코로나19’ 진단키트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도 긴급 사용승인을 얻으면서 K-바이오에 대한 관심과 신뢰도는 더욱 커졌다. 코로나19 테마주로 분류된 기업들의 경우, 주식 시장에서 연일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업계에선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위기상황은 이러한 일부 호재에 가려졌고, 정부의 정책 지원 또한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최근 보건복지부에 ‘코로나19 국가재난 위기 제약 자국화 기반을 위한 건의문’을 제출했다.

제약바이오협회는 “외래환자 감소에 따른 코로나19로 막대한 매출 손실이 불가피한데다 중국과 인도의 생산·수출 제한 조치에 환율 상승이 맞물리며 원료의약품 수급 불안, 원자재비 상승 등의 악재가 동시다발적으로 몰아치고 있어 지원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 ‘코로나19’ 이후 병원을 찾는 외래환자 수(코로나19 확진자 제외)는 한국병원협회 집계 기준 최대 46.7% 급감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제약바이오산업의 매출이 총 약품비의 최소 10% 수준인 1조8000억원(글로벌 컨설팅회사 딜로이트의 분석)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원자재비가 25% 상승되면 약 1조7000억원의 비용 증가를 감수해야 한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제약바이오협회는 “코로나19 현장에 의료인들이 투입되면서 임상시험이 지연·중단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고, 임상시험이 지연되는 만큼 R&D 비용은 상승한다”며 “처음부터 다시 임상시험을 시작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바이오협회 역시 성명서를 통해 “바이오는 돈과 시간, 우수인력의 싸움이고, 혁신적인 치료제와 의료기기가 시장에 나오기 위해선 많은 투자와 인력이 필요하다”며 “코로나19로 투자가 줄고 연구개발이 지연되고 우수인력 활용도 저조해진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바이오협회는 또 “주식이 급락하고 벤처캐피탈(VC)의 투자가 위축됐으며, 임상환자 모집이나 임상시료 배송의 지연 등 모든 게 어렵다”며 “이는 의약품과 의료기기에 대한 투자 감소와 개발 지연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와 관련해 업계는 ‘코로나19’ 위기 극복은 물론 국민건강을 위한 치료제·백신·의료기기 개발 등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R&D·설비 지원, 세제혜택, 신속심사 등 정부의 확실한 정책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진단키트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지만, 정작 제약바이오기업들은 검체 확보나 임상환자 모집 등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며 “국제 물류가 원활하지 않아 임상약 구입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정부가 검체를 국가자원으로 삼아 임상기관과 기업에 제공하기로 했지만, 이를 포함해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정부 지원은 더욱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ksh333@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