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시설 잠복결핵감염자 10명 중 3명만 치료받아
집단시설 잠복결핵감염자 10명 중 3명만 치료받아
  • 박고은 기자
  • 승인 2019.03.07 1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집단시설 잠복결핵감염자 10명 중 3명만 결핵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를 받지 않은 사람은 치료를 완료한 사람에 비해 결핵 발병 위험이 7배 높았다.

질병관리본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집단시설 내 잠복결핵감염 검진사업 결과분석 및 코호트 구성방안'의 연구 결과를 7일 공개했다.

잠복결핵은 몸 안에 결핵균이 존재하지만 활동 및 증식하지 않아 결핵이 발병하지 않은 상태다. 다른 사람에게 결핵을 전파하지는 않지만, 결핵환자와 접촉 시 30%가 감염되고 10%는 발병으로 이어지는 등 감염 위험에 노출돼있다.

결핵은 결핵균이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결핵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 말을 할 때 결핵균이 공기 중으로 퍼진다.

질본이 2017년 집단시설 잠복결핵감염 검진 대상자 120만6775명 중 투베르쿨린 피부반응검사(TST)자 등을 제외한 85만7765명을 분석한 결과, 14.8%인 12만6600명이 잠복결핵 감염자로 판정됐다.

이 가운데 치료에 들어간 사람은 31.7%이고, 치료를 완료한 사람은 76.9%였다. 치료를 마치지 않은 이유로는 간독성 등 부작용(40.8%), 비협조(23.5%), 연락두절(14.6%) 등이 꼽혔다.

이는 일본, 네덜란드와 비료해 한참 낮은 수치다. 일본의 잠복결핵 치료시작률은 95% 이상이며 치료 완료율은 71.9%다. 네덜란드의 경우는 치료시작률 77% 이상, 치료완료율 82% 수준이다.

또 치료를 받지 않은 사람은 치료를 완료한 사람보다 활동성 결핵 발생 위험률이 7배 높게 나타나기도 했다.

잠복결핵감염 위험은 나이가 많고 소득이 낮을수록 높아졌다.

연령별로 10대 2.1%, 20대 5.4% 등에 그쳤던 감염률은 30대 12.4%, 40대 23.0%, 50대 35.7%, 60대 43.2%, 70세 이상 44.4% 등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소득 수준별로는 저소득층 19.0%, 중∼저소득층 15.5%, 중∼고소득층 12.7%, 고소득층 11.0%로 소득이 낮을수록 높았고, 지역별로는 서울시 15.6%, 부산시 15.3%로 대도시가 높았다.

집단별 감염률은 산후조리원 근무자 33.5%, 교정시설 재소자 33.4%,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27.5%, 보건소 내소자 22.0%, 교육기관 종사자 18.3%, 의료기관 종사자 17.3% 순이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결핵은 잠복결핵을 검사하고 치료하는 것으로 예방이 가능하다"며 "결핵 발병 세계 1위의 오명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집단시설 소관 부처의 검진, 치료율 향상을 위한 범부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gooeun_p@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