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한은 금리인상 신호 살아있나…실기론 솔솔
11월 한은 금리인상 신호 살아있나…실기론 솔솔
  • 이혜현 기자
  • 승인 2018.11.04 1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 중간선거 후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주시해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11월에 금리 인상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고용시장 악화, 경기하강 우려 등으로 동결할 것이라는 의견도 적지 않다.  

한은이 어떤 결정을 하더라고 호평받기 어려운 상황에서 일각에서는 금리인상 실기론 마저 거론되고 있다.

4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10월 금통위 전에 2.09%(8일)로 올랐다가 29일 1.89%까지 떨어졌다.

주가가 급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요동친 여파다. 최근 발표된 경제 지표에 담긴 경기 상황도 좋지 않았다.

갑작스러운 미중 무역 분쟁 완화 조짐에 금리도 반등했지만 2일 기준 여전히 2% 밑이다.

한은도 금리인상을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가 국정감사 이후 11월 금리인상이 기정사실은 아니라며 한발 물러서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갈수록 악화되는 나라 안 밖 경기는 한은이 11월 금리인상을 단행하는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수출은 호조지만 투자는 감소세다.

소비 증가는 겨우 경제 성장세 수준이고 고용 사정은 빨리 좋아지기 어렵다. 그나마 물가상승률이 10월에 2%를 찍었다.

국제통화기금(IMF)을 포함한 국내외 기관들이 내년 한국 경제 성장 눈높이를 낮추고 있으며 구조적으로 경제 활력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늘어난다. 

미 금리 인상과 미중 무역 분쟁이 최대 변수다. 유럽중앙은행(ECB)의 긴축 계획도 경제 지표가 꺾이는 모습에 수정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이르면 다음 달 한미 정책금리 역전 폭이 1%포인트로 확대된다.

금리 인상 후 잡음이 거의 없던 1년 전과는 확연히 다른 상황이다.

현재 금리 인상이 경기침체 골을 깊게 할 것이란 우려와 부동산을 잡기 위해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견해가 충돌하고 있다. 금통위 회의가 4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미 중간선거 후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등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hyun11@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