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편의점 가맹점 실태 파악이 먼저다
[기자수첩] 편의점 가맹점 실태 파악이 먼저다
  • 김견희 기자
  • 승인 2018.10.09 12: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의점 점주들이 진퇴양난에 빠졌다. 최저임금 인상 등 제반비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본사와 정부에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전국 4만 여개 편의점 중 몇 개의 점포가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는지 현황 파악도 되지 않은 눈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가맹점주들과의 소통을 늘리고 면밀한 사태파악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편의점 프랜차이즈는 대부분 본사에서 개점 직후 1년까지는 최저수익을 지원해주는 제도를 갖추고 있어 창업자들의 진입장벽이 비교적 낮다. 

그러나 이후의 적자는 모두 가맹점주가 부담해야한다. 편의점 운영을 통해 버는 수익이 애초 본사가 제시했던 금액과 달리 마이너스를 기록해도 손실은 가맹점주의 몫이다. 이 때문에 편의점 가맹사업자들은 월 수익에서 인건비와 각종 세금을 제하고 나면 수중에 남는 돈이 최저임금 보다 적을 때도 있다. 

실제로 편의점 주요 5개사(CU·GS25·세븐일레븐·미니스톱·씨스페이스) 본사의 매출액 추이는 매년 증가세다. 2007년에서 2016년까지 10년 동안 가맹점수는 9148개에서 2만2601개로 3.7배 증가했고 그에 따라 본사 전체 매출액은 3.3배, 영업익은 3.8배, 당기순이익은 5.8배 증가했다. 

이에 반해 가맹점의 연평균 매출액은 1.2배 증가하는데 그쳤다. 같은 기간 누적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최저임금보다 못한 월 수령액을 가져가는 가맹점들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하지만 편의점산업협회는 전국 가맹점 중 몇 개의 점포가 얼마만큼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지 실태 파악도 못한 채 본사에서 전기료 지원, 초기 정착금 등 다방면으로 가맹점주들을 돕고 있다는 설명만 되풀이하고 있다. 

실질적인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전국 편의점 실태 파악이 먼저다. 현재의 상황조차 모르면서 제대로 된 해결책을 내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엄연한 가맹사업의 파트너로서 편의점주를 인정하고 이익과 손실을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도 필요하다. 과당출점을 막기 위해 매장 간 영업거리 제한 규제를 도입하고 현재 운영하고 있는 소상공인 지원금 외에도 사대보험금 등 다양한 지원에 나서야 한다.

peki@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