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석·김혜수·고현정 케이블로 간 까닭은?
유재석·김혜수·고현정 케이블로 간 까닭은?
  • 온라인뉴스팀
  • 승인 2015.11.09 14: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송 춘추전국시대 ①지상파 넘어 ‘케이블 나르샤’
 

“광고단가도 채널 아닌 콘텐츠파워가 기준”

방송 시장이 춘추전국시대를 맞았다. 플랫폼 다양화와 그로 인한 시청 패턴 변화로 ‘방송’이라는 개념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 콘텐츠 유통방식의 변화를 짚고 그에 따른 전망을 3차례로 나눠 게재한다.

지금의 tvN을 있게 해준 드라마 ‘응답하라 1997’은 지난 2012년 여름을 뜨겁게 달구며 ‘복고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케이블 드라마로는 놀라운 시청률인 7.55%로 종영한 이 드라마는 그러나 제작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국민 예능 ‘1박2일’을 만든 이명한PD(현 tvN 본부장)와 이우정 작가, ‘해피선데이’ ‘올드미스 다이어리’를 만든 신원호 PD가 뭉쳤지만 캐스팅부터 난항이었다. 케이블 드라마라는 한계 때문에 접촉한 배우마다 섭외를 거절했다.

3년여가 지난 2015년, 막 닻을 올린 ‘응답하라’의 세번째 시리즈 ‘응답하라 1988’의 상황은 180도 다르다. ‘응답하라 1997’, ‘응답하라 1994’의 잇단 성공으로 배경 시기, 지역, 캐스팅까지 작품과 관련된 모든 것이 관심의 대상이 됐다.

tvN의 ‘삼시세끼’, ‘꽃보다’ 시리즈, JTBC ‘냉장고를 부탁해’ 등 비(非) 지상파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려고 줄을 선 스타들의 모습도 케이블 채널의 달라진 위상을 보여준다.

◇ 케이블로 몰리는 ‘대어급’ 스타들

고현정, 김혜수, 조인성, 이제훈…. 모두 내년 상반기 tvN 출연을 앞둔 배우들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소재와 뛰어난 기획력으로 시청률, 화제성을 모두 잡는 케이블 드라마들이 잇따르면서 지상파 방송에서조차 보기 어려웠던 스타들이 복귀작으로 케이블 드라마를 택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케이블 드라마의 강점은 명확한 주제를 가진 다양한 소재다. 강남의 비뚤어진 교육열(‘아내의 자격’), 세종시 공무원의 생활상(식샤를 합시다2), 비정규직 문제와 갑을관계(미생·막돼먹은 영애씨14·송곳) 등 현실적 문제를 그리는 한편, 만학도가 된 여성의 로맨스(두번째 스무살)나 추억 여행(응답하라 1988)으로 시청자의 ‘판타지’도 만족시킨다.

방송가에서 ‘핫’한 셰프의 로맨스에 ‘빙의’라는 오컬트적인 요소를 더한 ‘오! 나의 귀신님’도 지상파에서는 쉽게 찾아보지 못할 드라마다.

tvN 이명한 본부장은 “tvN은 지상파와 같은 강력한 플랫폼이 없었기 때문에 시청자들이 알아서 찾아오기를 기다릴 수 없었고 시청자들이 있는 곳으로 찾아갈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다”며 “시청자와 시청자의 라이프스타일 등 트렌드를 면밀하게 분석해 콘텐츠를 기획·제작한다”고 설명했다.

작품성과 화제성을 모두 지닌 케이블 드라마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비지상파 드라마는 지상파 드라마에 비해 작품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편견도 점차 깨지고 있다.

수많은 마니아를 거느린 웹툰 ‘치즈인더트랩’의 드라마화가 지상파 방송이 아닌 tvN에서 이뤄진다는 점도 케이블 드라마의 성장을 보여준다.

어느 정도 작품성을 확보한 케이블 채널들이 ‘대어급’ 스타를 찾으면서 이들의 몸값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박보영은 tvN 드라마 ‘오! 나의 귀신님’에서 회당 3000만원의 출연료를 받아 tvN 출연 여배우 중 최고가를 기록했지만 후속작인 ‘두 번째 스무살’에 출연한 최지우가 회당 5000만원으로 곧바로 기록을 깼다.

 

◇ 유재석 너마저… 신선한 소재에 시청률도 고공행진

케이블 채널 콘텐츠의 ‘신선함’은 예능 프로그램에서 더욱 빛을 발한다.

나영석 PD는 ‘삼시세끼’를 대히트시키면서 자연으로 나간 예능이 ‘까나리액젓’ 없이도 성공할 수 있다는 걸 증명해냈다.

왁자지껄한 게임 하나 없이 조용한 마을에서 하루 세끼 밥 해먹는 게 전부인 이 프로그램은 일상의 재미를 선사하며 인기를 끌었고, ‘차줌마’ 차승원과 ‘참바다’ 유해진이 활약하는 ‘삼시세끼-어촌편2’의 첫 회는 13.9%(유료플랫폼, 닐슨코리아)를 기록하며 지상파를 단숨에 압도했다.

지상파 예능프로그램도 15%를 겨우 넘나드는 현실에서 이같은 수치는 마치 지상파 전성시대의 종식선언 같아 보일 정도다.

스타들의 냉장고 속 재료로 셰프들이 요리대결을 펼치는 JTBC ‘냉장고를 부탁해’도 7.4%(GD·태양편)라는 높은 시청률을 보이며 ‘신선한 콘텐츠’의 힘을 보여주고 있다.

이외에도 ‘꽃보다’ 시리즈, ‘더 지니어스’ ‘SNL코리아’ ‘너의 목소리가 보여’ , JTBC ‘히든싱어’ ‘비정상회담’ 등이 신선한 소재로 사랑받고 있다.

마지막 보루처럼 지상파를 지키던 ‘특급 MC’ 유재석, 강호동이 올 하반기 결국 종편으로 향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유재석은 KBS 2TV ‘나는 남자다’가 5.8%로 쫓기듯 종영하고 오랫동안 진행을 맡아온 ‘해피투게더’마저 4%대의 저조한 성적을 거두면서 위기라는 평을 들어야 했고 강호동도 탈세 논란으로 인한 휴식기 이후 이렇다 할 대표 프로그램 없이 고전하다 케이블 채널로 ‘살 길을 찾아’ 떠났다.

◇ 애타는 지상파…그래도 대세는 이미

케이블 채널의 급속 성장에 지상파 방송이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 곳에서 드러난다.

KBS는 지난 5월 한류스타 김수현에 차태현, 공효진까지 내세운 KBS 2TV ‘프로듀사’를 예외적으로 금토 드라마로 편성했다.

금요일엔 tvN ‘삼시세끼’ ‘꽃보다 할배’, 토요일엔 MBC의 주말극에 밀려 영 힘을 쓰지 못하던 시간대다.

‘프로듀사’는 최종회에서 자체최고 시청률 17.7%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뒀지만 ‘삼시세끼’도 10%에 가까운 시청률로 선방했다.

tvN의 올해 시청률은 지난해 대비 147%. 프라임타임 기준으로는 151% 수준으로 성장했다. 인기 프로그램의 광고단가는 지상파에 근접했고 광고단가를 정하는 기준마저 바뀌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지상파, 비지상파로 구분해 광고단가를 결정했다면 최근 들어서는 채널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콘텐츠 파워에 따라 단가가 정해진다”며 “프라임타임 기준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올해 지상파-비지상파의 광고단가 차이가 급격히 줄었다”고 전했다.

tvN 이명한 본부장은 이 같은 성장이 가능했던 배경에 크리에이터에 대한 중시가 있다고 설명했다.

“좋은 콘텐츠는 결국 만드는 사람, 크리에이터로부터 시작되는 것이기에 이들을 존중하고 중시하면서 한 명 한 명이 브랜드화 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도전과 시도를 독려하고 탑다운된 기획이 아닌 참신하고 독창적인 본인의 기획으로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tvN의 힘입니다."

[신아일보] 온라인뉴스팀 webmaster@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