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도 포기하는 젊은이들 늘어나
구직도 포기하는 젊은이들 늘어나
  • .
  • 승인 2008.08.18 17: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취업자가 1년 전에 비해 15만 3000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일자리 창출이 3월 이후 5개원 연속 20만개에 미달했다는 것이다.

올해 들어 월 평균 일자리 창출은 18만 6000개에 불과해 이명박 정부 출범 초기의 목표치 35만개 수정목표 20만 개에도 못 미친다.

서비스업은 작년 월평균 37만 3000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냈지만 올해 7월엔 24만4000개에 불과해 채용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고용빙하기’에 첫 직장을 구하려는 젊은 층이 동사할 판이다.

1-5월중 근속 1년 이상 경력이 있는 임금 근로자의 일자리는 작년 보다 54만개 늘어났지만 신규 패용 일자리는 오히려 23만개 줄었다.

이 바람에 대다수 젊은 층은 실업자 신세로 사회에 첫발을 내디뎌야한다.

7월 현재 대학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비경제 활동인구는 257만 여명으로 1년 전에 비해 20만 명 가까이 늘어났다.

이들은 구직 활동을 하지 않아 실업자 통계에 잡히지는 않지만 일자리가 없는 ‘백수’다.

20대 가운데 일자리를 구한 비율(고용률)은 60.1%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 낮아 졌다.

일자리가 많이 생기지 않으면 임시직 자영업 종사자 고령층이 더 고통을 받는다.

임시직 일자리는 작년 7월 비정규직 보호법 시행 이후 줄어들기 시작하더니 올해 상반기 (1-6월) 10만개 가까이 사라졌다.

2006년 이후부터 감소한 자영업 취업자는 올 상반기 7만 여명 줄었다.

65세 이상 고령취업자는 작년 상반기엔 만 명 증가에 그쳤다.

일자리 창출이 부진한 것은 물론 1차적으로는 경기 침체 탓이 크다.

국제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내수 부진으로 기업이 아우성인데 일자리가 늘어 날 리가 없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일자리를 늘어 달라고 압력을 넣어보아도 정작 이런 저런 시늉을 내는데 그치기 십상일 터다.

이명박 정부가 ‘7-4-7공약’을 통해 ‘고성장-일자리창출’의 논리를 내 놓았을 때 여러 전문가들은 무모한 논리라 지적한바 있다.

정부가 한 미 자유무역 협정 (FTA)등 시장 경쟁 만능주의 정책을 밀어붙이면 성장에 다소 도움이 될지 몰라도 일자리 늘이기에는 요원하다.

경제정책 전반을 손질 하지 않고는 일자리 문제를 풀기 어렵다.

우선 고용 효과가 큰 서비스산업을 육성하며 내수 기반을 튼튼히 할 수 있는 정책을 시행해야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