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칼럼] 금리인상 불안에 대한 단상(斷想)
[기고칼럼] 금리인상 불안에 대한 단상(斷想)
  • 신아일보
  • 승인 2017.04.16 18: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 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연내 2~3차례 추가 금리 인상이 예고되면서 국내의 금리인상에 대한 공포감도 함께 커지고 있다.

이미 수년째 부동산시장에서는 미국의 금리인상 전망이 나오고 있었고 때문에 부동산 시장이 침체될 것이라는 불안한 예측이 많았던 상황이다.

부동산시장에서 금리인상은 악재로 본다. 여유자금이 없는 상태로 부동산을 구입하거나 임대금액을 인상해야 할 때 도움을 청하는 곳은 결국 금융권 대출인데 금리인상으로 대출 금융비용이 증가해 매수세 위축, 부동산 가격 하락 수순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변동금리 상품을 이용했던 소비자들, 제2금융권을 상품을 이용했던 소비자들의 금융비용 증가는 적잖은 부담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가진 부동산을 급히 처분해야 할 일도 생길 수 있다.

금리 인상이 수년째 예고됐던 지금, 금리인상은 공포감을 가질 만큼 강력한 것일까? 우려하는 만큼 시장의 충격이 클 것인가? 위축, 하락, 침체 등 불안감을 조장하는 전망을 계속 쏟아 내야 하는지 현 시점에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

금리는 얼마나 오를까?

미국의 금리인상은 더 이상 경기 부양을 위한 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것, 즉 그만큼 경기 상황이 나아졌다는 확신에서 이뤄지고 있다.

반면 대한민국은 국외에서 올 충격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금리인상이 단행될 수 있다.

외부 충격을 방어하는 차원의 금리 인상은 다른 여러 분야에서 현재 보다 더욱 시장을 위축시킬 수 있어 금리 인상 인상폭은 크게 가기 어렵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해 말 기준 가계부채를 1565조8,100억원으로 추정했다.

이는 2015년에 비해서 약 10% 가량 증가한 수준이다.

금리인상이 1년에 여러 차례 인상 할 순 있겠지만 이 또한 쉽지 않고 올리더라도 소폭 올리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금리인상 공포에 대한 최근의 분위기는 다소 지나친 감이 있다.

또한 한국은행은 지난 3월 말 미국의 금리인상과 관련해 국내 기준금리도 인상하는 방식의 대응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 국내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불안감도 이제는 어느 정도 걷힐 때가 됐다.

내성이 생긴 부동산 시장, 그래도 경계는 늦추지 말아야 한다.

부동산시장은 여신심사 강화 시행과 올해 들어서는 잔금대출 또한 규제에 들어가 원하는 만큼 대출을 받을 수 없는 구조로 가고 있다.

거치기간도 짧아 져 원금도 일찌감치 상환해 나가야 하기 때문에 공격적인 대출이 어렵게 됐다.

또한 수년간 금리인상이 대중을 통해 회자됐기 때문에 시장은 어느 정도 금리인상에 대한 내성이 생겼다.

필요에 의해 적당한 수준의 금융비용 만으로 부동산을 구입하는 것을 나무랄 수 없지만 그래도 한차례든 여러 차례 나눠서든 단행 될 수 있을 금리인상에 대해서는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된다.

하지만 금리인상보다 더 염려할 것은 대선 이후 들어선 새 정부에서 시행할 부동산 규제책이다.

여러 모로 골치 아픈 상황이 연속되는 만큼 대선 이후 주택의 매수, 매도 전략은 좀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해 졌다.  

/권 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