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北 수해복구 지원호소, 공허하게 들린다
[사설] 北 수해복구 지원호소, 공허하게 들린다
  • 신아일보
  • 승인 2016.09.19 15: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 재앙속에 핵 도발이나 하고
복구도 맨손 주민들에 맡기다니

북한 함경북도 일원에 지난 달 말부터 9월초까지 사상 유례가 없는 많은 비가 내려 큰 피해를 입혔다. 두만강 범람으로 피해가 더 컸다.

북한 언론들은 이번 수해를 해방 후 처음 있는 대재앙이라고 했다. 북한 매체에 따르면 10호 태풍 라이언록의 영향으로 관측 이래 가장 많은 비가 내리면서 함경북도 북부 일대가 최악의 수해를 겪고 있다.

지금까지 138명이 사망하고, 400여 명이 실종됐으며 주택 약 3만 채가 파손됐다. 현장을 실사한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긴급지원이 필요한 이재민만 14만 명이고, 60만 명이 식수와 보건 문제에 직면한 상태라고 밝혔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수해지역 실사 보고서에서 함북 무산군에서는 5만가구 이상, 연사군과 회령시는 각각 1만가구 이상이 피해를 입었고 현지 학교와 유치원, 보육원이 모두 파손됐다고 했다.

북한 매체들은 수해현상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보도해 국제사회의 관심을 환기, 지원 요청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평양에서는 아시아 국가들의 대사들을 초치해 수해복구 지원을 호소했다. 북한의 발빠른 지원호소로 볼 때 피해규모가 상당함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이를 접한 국제 사회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재난 전문 지원기관인 유엔 인도주의업무 조정국만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으나 출연할 국가들이 별로 나타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인도적인 지원에 인색하지 않은 미국의 반응도 냉랭한 편이다. 가장 관심이 많은 한국의 사회단체들도 대 북한 국내 분위기가 좋지 않은 탓에 지원에 선뜻 나서지 않고 있다.

이는 전적으로 북한의 자업자득이다. 그동안 북한이 계속적으로 핵 도발을 하고 한국을 겁박하는 상황에서 지원하자는 의견을 개진하기가 어렵다.

정부가 지원할 의사를 보이지 않는 데 사회단체들이 나서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승인을 기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의 분위기나 국내 분위기가 냉랭한 것은 북한이 그동안 저지른 핵도발과 미사일 도발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북한이 냉철히 받아 들여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 복귀하지 않으면 고립만이 심화될 뿐이라는 것을 존립하기 알아야 한다.

그런데 북한의 최고지도자인 김정은은 대재앙으로 주민이 고통을 받고 있는데도 이를 외면하는 행보를 보여 빈축을 사고 있다.

김정은은 수해 현장을 직접 찾는 대신 13일 1116호 농장을 찾은데 이어 15일에는 보건산소공장을 18일 대동강 과수종합농장을 찾아 현지 지도했다.

주민 고통은 아랑곳 하지 않고 성과를 과시할 수 있는 곳만 택한 것이다. 적어도 일국을 통치하는 지도자라면 주민의 아픔을 보듬는 모습을 보여야 되는데 그렇지 않은 것이다. 현재까지 수해 복구와 관련된 김정은의 공개 활동은 보기가 어렵다.

특히 북한 당국의 수해 대처는 상식을 벗어난다. 김정은은 수해 현장을 찾지도 않은 채 복구작업용 굴착기만 보냈고, 당국은 수해 복구를 위해 다른 지역 주민이나 학생들에게 돈이나 쌀을 거둬들이고 있다.

수해 복구사업에 동원된 주민들은 폐허로 변한 마을에서 장비 없이 맨손으로 돌과 흙을 치우고 있다.

국제 사회의 인도주의에 입각한 지원을 요청하려면 지도자부터 절실한 행태를 보이고 정부가 나서서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것이 상식인데 그 반대인 것이다.

북한이 수해가 나 주민들이 망연자실하는 가운데 김정은은 5차 핵실험을 강행, 세계를 놀라게 했다. 국제 사회에 도발이나 하고 수재주민을 외면하는 북한에 피해 복구 지원을 하는 국가가 과연 얼마나 있겠는가.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으려면 그러한 주위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국제사회로의 회귀만이 북한의 살길이라는 것을 북한만이 모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