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진대비 태세 점검하고 안전대책 강화해야
[사설] 지진대비 태세 점검하고 안전대책 강화해야
  • 신아일보
  • 승인 2016.07.07 17: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전의식 고취·재난훈련도 적극적 실시
건축물 내진설계 보강하는 등 대비해야

한반도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닌 것으로 알려지면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최근 발생되는 지진을 보면 횟수와 강도가 높아진 것으로 밝혀져 더욱 그렇다.

지난 5일 오후 울산 동구 동쪽 52km 해상에서 발생한 지진은 규모 5.0으로 울산 전지역에서 찬장에 놓인 그릇이 쏟아질 정도로 흔들렸다는 신고가 잇따랐다.

이번 지진은 경남과 경북, 부산시 등지에서는 느낄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특히 서울과 강원은 물론 진앙지에서 300km 넘게 떨어진 서해안의 전남 영광군에 위치한 한빛원전에서도 진동이 감지돼 전국이 움찔했다.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는 드물게 매우 큰 규모라는 것이다.

울산지역 인근에는 원전 여러기가 위치해 있어 만일의 사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고리와 월성 등에는 20여기의 원전이 밀집한 지역이고, 얼마 떨어지지 않은 경북 경주에는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이 있다.

다행히 이들 원전들에는 이번 지진에 별다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이들 지역에서 올해만 10차례 지진이 있었다고 한다.

지역 주민이 느끼는 불안감이 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번 지진으로 노후 원전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정치권에서는 신규 원전 건설 반대 움직임까지 나오고 있다.

한반도지역의 지진 발생이 증가하면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우리나라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서 벗어나 있어 앞으로 대형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은 낮지만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지진의 빈도는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계기지진관측 이후 지난해까지 총 1212회가 발생했다.

1978년 6차례였던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지난해에는 44차례로 늘었다. 올해 들어서만 2.0∼3.5의 지진이 30차례나 발생했다.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지진에 대비한 건축물의 내진 설계 수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만약 서울에서 강진이 발생하면 건축물의 73.8%가 붕괴 위험에 처해 있다는 조사 자료도 있다.

현재 민간 건축물 가운데 내진 설계가 된 건물은 34%이고 서울 부산 인천 등 인구 밀집지역에는 20%대에 불과하다. 더욱이 지진에 취약한 노후·불량 건축물 비중이 전체의 34%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안전한 건축도시 환경을 만들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돼야 한다.

이번 지진의 긴급재난문자 발송도 허술했다.

전국에서 감지될 정도였는데 재난문자를 누군 받고 누군 못 받고, 그리고 날짜도 틀렸으니 진짜 긴급 상황에서는 어떠했겠는가. 답답한 마음뿐이다.

지진이 났을 때 국민이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빨리 정보를 줘야 한다. 이런 방식이라면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다.

안전처의 대국민 알림서비스 등을 비롯 전면적인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

발등에 불 떨어진 후 위기대처는 이미 늦는다.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에 우왕좌왕하다간 더 큰 피해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대비 태세를 다시 점검하고 대책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