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을 불안케 하는 역사교과서 여·야 충돌
[사설] 국민을 불안케 하는 역사교과서 여·야 충돌
  • 신아일보
  • 승인 2015.10.11 1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민국 정체성을 심어주는 역사교과서에
정사를 담는다면, 국정 검인정이 중요치 않아

정부가 역사 중 고등학교 교과서를 국정화 하려고 하자 야당이 강하게 반발,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당론화하고 있는 여당과의 충돌이 불가피하게 됐다.

야당의 입장에서는 국정교과서에서 밀린다면 향후 전국의 주도권마저 내주어야 되는 상황이어서 일전 불사를 외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비노측으로부터 퇴진 압력을 받고 있는 문재인 대표로서는 더 이상의 마지노선이 없는 상황이다.

또한 역사 교과서 검인정을 주장하는 전교조의 손을 들어주지 않으면 다가오는 내년 4월 총선을 치를 수가 없다는 절박한 상황이어서 더욱 그렇다.

이러한 강박관념은 여당도 마찬가지이다.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로 청와대와 일전, 홍역을 치른 새누리당 지도부가 박근혜 대통령의 의지로 추진하고 있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성사시키지 못할 경우의 후폭풍을 감내할 수가 없으리라는 전망이다.

여야의 사정이 서로가 밀리면 끝장이라는 절박함 때문에 올해 최대 정치 핵폭탄이 된 셈이다.

그러나 이 같은 난제도 경우에 따라서는 쉽게 풀릴 수가 있다. 국가의 미래에 포커스를 맞추고 의견 조율을 한다면 그 속에 답이 있으리라고 본다.

정치의 큰 목표를 국태민안에 두고 국리민복을 향해 정진하는 자세를 견지한다면 최대공약수를 찾는 길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이번 국정교과서 파동이 내년 총선의 이슈로 삼기 위해 당략을 모아서는 안 된다. 어느 이권 단체의 눈치를 보는 따위의 우를 범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정치는 멀리 내다보고 해야 한다. 그렇게 할 때에 당장은 손해가 있을 수가 있겠지만 결국은 미래의 승자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서로가 이해해 주는 정치를 해야 된다. 정부가 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려는 이유를 살필 필요가 있다.

교육부가 국회에 낸 자료에 따르면 현 검정(檢定) 교과서들의 필진 가운데 좌파 연구 단체와 직간접으로 연관된 사람이 80~90%나 된다.

다양한 시각이나 견해를 가진 집필자가 교과서를 균형 있게 쓴 게 아니라 특정 학맥 등으로 연결된 비슷한 시각을 가진 인사들이 모여 교과서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서용교 의원(새누리당)이 조사한 ‘한국사 교과서 집필진’ 자료에 따르면 출판사 ‘미래엔’ 집필진 8명은 A대 역사교육과(4명)와 B대 사학과(4명) 등 두 학교 출신들로 구성됐다.

B대 출신 집필진 4명 중 3명은 진보·좌파 성향 민족문제연구소 소속이었다. 민족문제연구소 함세웅 이사장은 국보법 폐지와 주한 미군 철수 등을 주장한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고문을 맡고 있다.

리베르스쿨 출판사 집필진은 ‘C대 역사교육과 모임’에 가깝다. 공동 집필진 5명 중 4명이 C대 역사교육과를 나온 고교 교사다.

C대 출신 교사 4명 중 3명은 전교조나 전국역사교사모임에 속했고, 이 중 한 명은 2003년 금성출판사의 고교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공동 집필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사관을 가지고 있는 인맥도 모자라 이념 서클을 연상케 하는 집단이 역사 교과서를 집필한 것이다. 그 교과서는 편향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교과서로 학생들을 가르칠 수가 있겠는가.

중등 교육은 나라의 동량을 키우는 핵심 교육이다. 중등생들의 교육과정은 대학과 달리 인격이 형성되는 기간이기 때문에 제일 중요하다.

이때 형성된 인격이 평생을 좌우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중등교육이 차지하는 무게는 상상하기가 어려울 정도이다. 국가의 미래가 이 기간의 교육에 달려 있다.

여야는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합의점을 이끌어내야 된다. 이러한 바탕의 교과서라면 국정 검인정이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 절묘한 공약수를 발견하기를 바란다. 그것이 정치권의 책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