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연중 발생 구제역·AI 동물복지로 풀어야
[사설] 연중 발생 구제역·AI 동물복지로 풀어야
  • 신아일보
  • 승인 2014.12.17 17: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가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 노력 중요
동물복지 인증제 확대등 새 방안 필요

충북 진천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충남 천안·충북 증평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경암 양산의 양계 농가에선 고병원성 AI까지 발생해 축산 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 3월 경주시 천북면에서 AI가 발생한지 8개월 만의 재발이다.

특히 양산지역은 2004년과 2008년, 2011년에 고병원성 AI가 발생해 닭과 오리 등 320만 마리를 살 처분해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이다.

더욱이 발생 농가에서 반경 10km 주변에는 닭 150만 마리를 기르는 산란계 집산지가 위치해 방역당국을 더욱 긴장케 하고 있다.

진천지역에서 구제역 발생 농가가 10일만에 4곳으로 확산됐다. 해당 농가는 진천에서 첫 구제역이 발생한 축사와 3.4km 떨어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AI가 최초로 발생한 것은 2003년으로 이후 2006년, 2008년, 2010년, 올해까지 모두 5차례이다.

하지만 과거에는 AI가 주로 겨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올해의 경우 더위가 시작된 6월 강원도 횡성에서 발생해 대구, 전남, 경기도에 퍼졌고 7월에도 전남 함평의 오리 농가에서 추가로 발생하는 등 기온이 상승하면 AI는 종식된다는 공식이 깨진 것이다.

심지어 올해는 9월에도 전남 영암에서 AI가 추가로 발생했고 이어서 전북 김제, 경북 경주 등 전국으로 확산됐다.

방역당국은 이번에 발견된 구제역 바이러스가 O-타입형으로 백신 접종에 의한 관리가 가능하다고 밝히고 있지만 아직까지 종지부를 찍지 목하고 있다.

또 함평에서 확인된 AI바이러스는 H5N8형으로 그 동안 국내에서 발생했던 H5NI형과 크게 다르다.

전문가들은 이 바이러스가 중국 동부지역 AI바이러스 유전자와 재조합 결과라는 연구보고서를 내놓고 있다. 그 만큼 바이러스 특성과 전파 경로를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방역당국의 확인 결과 구제역과 Ai발생 농가는 모두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농가의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일깨우는 대목이다.

문제는 구제역이 계속적으로 확산될 경우 내수는 물론 수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돼지고기는 태국, 일본, 중구, 홍콩 등 30여개국에 수출되고 있다.

지난 7월 우리나라가 백신청정국 지위를 획득했지만 완전 청정국 지위를 확인하기 까지는 신선육 수출을 사실상 어려운 상태다.

당분간은 열을 가해서 가공하는 가공육 수출국으로 만족해야 할 처지다.

그러나 축산물 수출 감소보다 더 우려되는 것은 구제역이나 AI가 상시 발생·토착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부합하는 상시적 방역체계와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동물복지 축산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때다.

농축산 당국은 동물복지 인증제를 확대 실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 바란다.

돌물복지 인증제는 동물, 농장주,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을 주는 일석삼조의 방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