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모든 국민이 존경할 대통령이 있으면 좋겠다
우리도 모든 국민이 존경할 대통령이 있으면 좋겠다
  • 이 도 선
  • 승인 2012.12.27 16: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에서는 매번 선거철이 되면 존경받는 대통령과 인기 없는 대통령 순위가 언론에 발표되곤 한다.

유권자에게 흥밋거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귀감이 되는 지도자상을 장차 대통령 이 될 사람의 마음에 미리 새겨 두려는 뜻일 게다.

우리도 존경스러운 대통령이 여럿 있고 순위도 매겨 봤으면 좋으련만 현실은 별로 그렇지 못한 것 같아 아쉬움을 떨칠 수 없다.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부터 현 대통령 버락 오바마에 이르기까지 미국이 배출한 대통령 44명 가운데 가장 존경받는 이는 아마도 제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이다.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는 지상에서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한 게티즈버그 명연설을 남긴 그는 가난했지만 정직하고 성실했고 독학으로 대통령까지 된 입지전적 인물이다.

인권을 존중했고 노예해방을 선언했으며 4년여에 걸친 남북전쟁도 승리로 이끌었다.

그러나 그가 진짜 존경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바로 ‘통합의 대통령’이다.

전쟁 전의 미국은 국가라기보다 각 주(州)의 연합체 성격이 짙었고 전쟁 후에는 분열의 위기감이 더 팽배했다.

링컨은 그러나 패전한 남부를 배려하고 달래서 ‘하나의 국가’를 지켜내는 데에 성공했다.

링컨의 ‘대통합 정신’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초강대국 미국은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새삼스레 링컨 얘기를 길게 하는 것은 지금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보는 까닭이다.

부끄럽게도 우리 사회는 대선 과정에서 가리가리 찢긴 꼴을 드러냈다.

이념, 세대, 지역, 빈부, 학맥 등등 뭐든지 걸리기만 하면 여지없이 패를 갈라 싸웠다.

‘이대로 가다간 나라가 결딴나지나 않을까?’ 하고 우려되곤 했다.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와 국내외 경기는 우리가 집안싸움에 몰두할 만큼 한가한 상황이 아니라는 판단에서였다.

선거는 끝났다.

이젠 흐트러진 마음 추스르고 모두가 민생 챙기기에 나설 때다.

그러려면 무엇보다 박근혜 제18대 대통령 당선인의 마음가짐과 행동이 요긴하다.

모든 공약이 다 중요하겠지만 국민대통합 약속만은 꼭 지켜야 한다.

현대사에서 유일하게 산업화와 민주화를 함께 달성한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역사에 선진화까지 얹으려면 대통합이 전제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박 당선인은 여야 지도자가 참여하는 ‘국가지도자연석회의’를 제안하는 등 초당파적 국정 운영을 약속했지만 말만으로는 안 된다.

진정성이 입증돼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반대 진영에 섰던 사람들도 기꺼이 동참할 수 있도록 대의명분이 수반되는 대탕평을 내놓아야 한다.

승자가 모든 것을 독식하는 ‘뺄셈의 정치’가 아니라 야당을 국정 파트너로 인정하고 함께 나라를 이끌어 가는 ‘덧셈의 정치’, 즉 ‘상생의 정치’를 지향해야 하는 것도 그래서다.

우리 정계에서 몇 안 되는 ‘신뢰의 정치인’으로 통하는 박 당선인의 대통합 약속에 주목하고자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모름지기 지도자는 국민에게 ‘나아갈 길’을 밝혀야 한다.

당장의 경제난을 어떻게 극복하고 양극화, 고령화, 청년 실업 등 산적한 난제를 어떻게 풀겠다는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아울러 물가도 잡고 일자리도 늘리고 투자의욕도 북돋우는 고차방정식도 척척 풀어야 한다.

그러나 진정한 지도자라면 어디에 쓰느냐보다 어디에서 버느냐부터 고민해야 한다.

그게 대중영합주의(포퓰리즘)에 휘둘리지 않고 복지사회를 앞당기는 지름길이다.

재정 건전성을 놓치면 경제 민주화고 뭐고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야당도 할 일이 많다.

비록 패하긴 했으나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도 무려 1천469여만 표를 받았다.

박 당선인에 이어 역대 2번째 득표다.

좌절할 게 아니라 패인을 철저히 분석하고 다음 선거를 대비해야 한다.

다만 민주당이 좋아서가 아니라 이명박 정부에 대한 실망으로 문 후보를 택한 유권자가 상당수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겸손한 마음으로 차근차근 힘을 기르며 기회를 노려야 한다.

5년은 금방 간다.

대선에 앞서 총선거, 지방선거, 보궐선거 등 유권자의 심판을 받을 기회는 얼마든지 있다.

그 전에 할 일이 있다.

새 정부와 손잡고 민생 해결에 발 벗고 나서는 일이다.

비판할 것은 비판하고 견제할 것은 견제하되 협력이 필요한 대목에서는 기꺼이 협력해야 한다.

그게 수권정당의 기본자세다.

정부의 실정에 따른 반사이익이나 기대해서는 차기도 장담 못한다.

발목잡기나 몽니도 더 이상 안 통한다.

‘광우병 촛불’ 같은 국정 흔들기에 맛 들여서는 더더욱 곤란하다.

그 바쁜 시기에 얼마나 많은 국력을 낭비했던가. 훌륭한 대안을 내놓고 정정당당한 승부로 나가야 비로소 ‘표심’을 얻을 수 있다.

많은 아쉬움을 남긴 채 임진년이 가고 대망의 계사년이 밝아오고 있다.

새해에는 갈등보다 순리가 통하는 ‘착한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

그리고 이제부터는 우리에게도 존경할 수 있는 대통령이 하나둘 생기기를 간절히 소망해 본다.

이 글은 선진사회 만들기 길라잡이‘선사연’의 홈페이지(www.sunsayeon.or.kr)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