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 시위, 구제역 악몽 떠오른다
축산농 시위, 구제역 악몽 떠오른다
  • .
  • 승인 2012.01.17 16: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축산농민들에게 서울 도심에서의 소값 파동 항의 시위 자제를 촉구했으나 축산단체는 강행할 기세여서 충돌이 예상 된다.

축산업계의 애로를 모르는 바는 아니다.

하지만 이런 형태의 집회는 국민들의 공감과 협조를 얻기는 어려우며 자칫 정부가 우려하는 것처럼 구제역 발생과 확산에 원인을 제공할 수 있는 여지도 없지 않아 보인다.

전국 한우협회 소속 축산농민들은 5일 위기의 축산법 대책을 요구하며 한우 반납 시위를 벌였다.

소를 끌고 청와대로 들어가겠다며 고속도로 입구와 대도시 곳곳에서 소와 뒤섞여 경찰과 대치하는 소동을 벌였다.

당시 시위에 동조하는 축산농민들은 물론 일반국민들이 적지 않게 우려 한다.

저러다가 구제역이 발생해 번지면 어떨 것인가 최근 중국에서는 이미 구제역이 발생해 정부당국이 국내예방과 감염에 비상이 걸려있는 상황이다.

정부가 이를 경고하고 중국 여행객의 휴대폰 검색 및 소독을 강화하고 중국여행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중국에서 입국하는 내외국인은 월평균 41만 명이다.

중국에 드나드는 사람이 많은 번잡한 도시일수록 바이러스가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그런데 낙농육우협회 일부회원은 소 떼를 끌고와 소의 산지수매를 요구하는 시위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다가 서울에서 바이러스라도 옮아가게 되면 작년 구제역 재앙이 재연 될 수 있다.

구제역 발생 당시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320만 마리가 도살처분 돼 매몰지 4500곳에 묻었다.

도살처분 보상금이 1조 8700억원에 이르렀고 방역비 등 기타비용을 합하면 피해액은 3조원을 넘었다.

스스로 목숨은 끊을 농민도 여럿 있었다.

정부는 소 사육 마릿수가 늘자 2009년부터 소 값 하락을 경고하면서 송아지 기르기 자제를 권유했다.

2010년부터는 한우농가 결의대회 암소 도태 조합장 결의 등을 유도했다.

그럼에도 마릿수는 계속 늘었다.

올해는 총선과 대선이 있는 해여서 각종 이익단체의 요구 상황이 봇물처럼 쏟아져 사회 혼란이 우려 된다.

정부는 타당한 요구는 수용해야 하지만 표를 볼모로 한 떼쓰기식의 집회나 시위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