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간지역‘화재진압’대책마련 시급
산간지역‘화재진압’대책마련 시급
  • 손 윤 기
  • 승인 2011.12.12 17: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겨울철은 화재가 끊임없이 발생하는 계절이다.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 지하화 등 구조가 복잡한 건물들의 대량공급으로 화재예방을 위한 대응매뉴얼 및 교육, 훈련의 포커스가 이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특별시.광역시 등을 제외한 산간지역인 전남북, 경남북을 비롯하여 강원도 등 의 화재예방과 진압대책은 미흡한 상황이다.

통계에 따르면 이런 지역들의 화재 발생건수가 2010년과 2011년 동기간을 비교했을 시 평균적으로 5.8% 증가했고 많게는 14%까지 증가한 곳도 있다.

산간지역은 대부분 소방관서와 원거리에 위치해있어 화재가 발생하면 초기 대처가 어려워 인명 또는 재산피해를 발생시키고 자칫하면 대형사고로 번질 확률이 높다.

화재발생 시 초동대처는 5분 이내로 대처 해야 하지만 산간지역은 이것을 지켜가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들 산간지역에 소방대가 있기는 하나 대부분이 나 홀로 소방관체제로 운영되고 있어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관 1명이 직접운전을 하여 현장에 도착한 후 호스를 펼치고 방수를 하는 등 1인 3~4역 역할로 대응하고 있다.

이럴 경우 최소 5명이상의 팀이 해야 할 일을 한명이 대처 하다 보니 초동대처가 될 수 없는 것은 불 보 듯 뻔한 사실이다.

소방업무는 주로 화재진압, 구조.구급, 대민업무 등이지만 최근에는 문잠김. 해결 민원에서부터 고양이 동물구조 요청까지 가지각색의 민원들이 쇄도 하고 있다.

한편, 소방방재청 등 상부기관은“화재 없는 안전마을 지정행사”를 통해 원거리 소방사각지대 및 산간지역의 화재취약지역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단독경보형 감지기.소화기 사용 등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화재 등 재난발생시 지역주민들 스스로가 대처능력을 높여 화재피해를 최소화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일선 소방관서는 원거리에 있는 산간지역에 대한 화재예방에 더욱 힘쓰고 시민들의 인명 및 재산피해를 막기 위해 소방방재청 등 상부기관은 산간지역의 화재예방 등 진압대책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