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구제역 불명예’재현해선 안된다
농림부‘구제역 불명예’재현해선 안된다
  • .
  • 승인 2011.10.25 16: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제역 계절이 왔다.

군말이 필요없다.

지난해 피해가 너무 컸기 때문에 철저히 대비할 것을 주문할 필요도 없다.

정부도 이를 인식, 지난해 오염 농가와 해당 지자체, 농림부가 유기적 초기에 대응에 실패하는 바람에 방역망이 뚫린것을 거울삼아 이를 방지하기 위한 도상훈련을 25일, 실시했다.

경기 화성의 젖소 농장에서 구제역 발생상황을 가정한 방역훈련을 실시한 것이다.

지자체와 방역기관의 대응태세를 단계 별로 일괄 점검하는 훈련은 의심 가축의 신고에서 시작해 초기 긴급대응과 방역체제, 통제초소와 거점 소독장 설치ㆍ운영, 긴급 예방접종 및 소독, 살처분 등으로 이뤄졌다.

또한 10월말에는 전국적 구제역 발생 상황을 가정한 전국적 도상훈련도 실시할 계획이다.

농림부의 이번 점검은 가히 실제적이라고 하겠다.

지난 해 있었던 학습 효과라 하겠다.

우리나라 정부는 매사 일순간만 보내면 망각하고 만다.

그래서 구제역 뿐만이 아니라 각종 재해가 반복된다.

그러나 지난해 있었던 구제역은 문제가 크다.

대한민국의 축산을 초토화 했다.

이제 양축 농가가 겨우 숨을 돌리고 재기를 도모하는 과정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또 구제역이 덮친다면 한국의 축산은 재기 불능이 된다.

철저한 구제역 예방이 필요한 이유이다.

지난 겨울 구제역 피해는 살처분된 가축이 349만 마리에 이를 정도였다.

소 15만 마리, 돼지 333만 마리, 염소와 사슴 1만 마리가 살 처분 되었고, 이에 따른 직접적 경제 피해만 2조2,000억원, 후속 환경피해까지 합치면 3조원에 이른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사육두수 급감으로 돼지고기 값이 폭등했고, 그에 따른 수입 확대 및 농가의 급격한 입식 증가로 생돈 가격 폭락이 빚어지고 있으나 정상화 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구제역 여파로 한우 소비가 줄어 생산지 출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추세에 있어 농가의 사기저하와 시름은 더욱 깊어가고 있다.

큰 걱정이 아닐수 없다.

그런데 문제는 이미 지난달 동남아 각국에서 구제역 발생이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농민들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오염지역에 해외여행을 갔다가 구제역 바이러스를 묻혀 들어올 수 있다.

또한 감염됐다가 자연 치유된 구제역 비구조단백질(NSP) 항체가 발견되었고 구제역 바이러스가 국내 토양 중에 남아 있을 우려도 크다.

철저한 대비를 하지 않으면 다시 창궐할 수 있다.

농림부는 구제역 청정으로 지난해 불명예를 씻기 바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