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특혜논란, 해명나선 ‘방통위’
지상파 특혜논란, 해명나선 ‘방통위’
  • .
  • 승인 2010.12.19 14: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송통신 위원회는 내년도 업무보고에 포함된 지상파 방송의 다채널방송 서비스(MMS) 등이 논란을 부르자 진화에 나서는 모습이다.

방통위는 ‘지상파에만 특혜를 주는 것이냐’는 지적이 나오자 ‘MMS도입이 결정된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지상파 MMS란 디지털 방송 안테나와 방송 수신기를 TV에 연결하면 기존의 1개 채널이 4개로 늘어나는 디지털 압축 기술이다.

KBS MBC SBS EBS 등 지상파 4개사의 채널수가 순식간에 20개로 늘어난다는 얘기다.

또 지상파 방송에 대한 각종 광고규제를 모조리 해제한다는 것이다.

먹는 샘물이나 의료광고 등 방송광고 금지품목에 대한 규제도 푼다는 것이다.

중간 간접 협찬 광고도 전격 허용했다.

방통위가 지상파 방송을 지원 해주려는 시도는 언제든지 다시 수면위로 떠오를 공산이 크다.

전파의 주인은 어디까지나 국민인데 지상파들이 마치 사유 재산인양 자기들 마음대로 쓰겠다고 나선 것이다.

수신 환경 개선도 그렇다.

그동안 KBS등 지상파들이 난시청 해소에 기여 했다고 보나 상당 부분케이블 등에 의존해온 게 사실 아닌 가 이러니 지상파의 우월적 지위를 계속 지키겠다는 소리로 밖에 들리지 않은 것이다.

정부가 지상파 방송에 막대한 특혜를 몰라주는 듯 하지만 신호탄은 지상파가 쏘아 올렸다.

방송4사 시장은 KBS가 독자적으로 추진해온 MMS사업을 지상파방송 전체로 확대하기로 하고 내년부터 3년간 1400억원을 나눠투자키로 합의했다고 한다.

난시청을 없애고 시청자에게 내세웠다.

갑자기 이렇게 나선 이유가 궁금하다.

그동안 난시청 탓에 국민의 85%이상이 케이블이나 위성방송을 통해 지상파 프로그램을 보는 현상에 눈을 감고 있지 않았던 가 케이블방송의 재전송 대가 요구에는 귀를 막고 있지 않았던가 지상파 MMS 도입과 광고확대가 몰고 올 파장은 엄청 나다.

유료방송 시장의 몰락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광고를 주 수입으로 하는 유료방송 채널의 붕괴를 가속화할 전망이다.

콘텐츠의 채널이라는 무기를 양손에 쥔 지상파의 위력 앞에 유료방송 광고는 고갈 될 게 뻔하다.

케이블 가입자의 이탈도 각오해야한다.

방통위는 MMS로 늘어나는 채널을 공공채널로 운영하는 방안을 강구해야한다.

전파의 주인은 국민이다.

그런데도 기득권 지키기에 골몰한 지상파 방송사들에 내 맡길 일이 아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