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小學)
소학(小學)
  • 전 하 술 국장
  • 승인 2010.05.02 09: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학(小學)은 8세 안팎의 아동들에게 유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만든 수신서(修身書)다.


송나라 주자(朱子)가 엮은 것이라고 씌어 있으나 실은 그의 제자 유자징(劉子澄)이 주자의 지시에 따라 편찬한 것이다.


1187년(남송 순희 14)에 완성되었으며, 내편(內篇) 4권, 외편(外篇) 2권의 전 6권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일상생활의 예의범절, 수양을 위한 격언, 충신·효자의 사적 등을 모아 놓은 것이다.

소학은 유교사회의 도덕규범 중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내용을 가려 뽑은 것으로서 유학교육의 입문서와 같은 구실을 했다.

주자에 의하면 소학은 집을 지을 때 터를 닦고 재목을 준비하는 것이며, 대학은 그 터에 재목으로 집을 짓는 것이 된다고 비유하여 소학이 인간교육의 바탕이 됨을 강조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소학이 중시된 것은 조선 초기부터이다.

어릴 때부터 유교 윤리관을 체득하게 하기 위하여 아동의 수신서로서 장려되어, 사학(四學)·향교·서원·서당 등 당시의 모든 유학 교육기관에서는 이를 필수 교과목으로 다루었다.

권근(權近)은 소학의 통달을 강조하면서 먼저 소학을 읽은 다음에 다른 공부를 할 것이며, 성균관에 입학하고자 하는 자에게는 소학의 능통 여부를 알아본 다음에 시험에 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들 이후로도 조광조(趙光祖)·김안국(金安國)·이황(李滉) 등 도학실천(道學實踐)을 중요시한 선비들이 소학의 가치와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사림파들이 민중교화의 수단으로 이를 권장하였으며, 김안국은 경상도관찰사로 재임할 때 소학을 한글로 번역한 소학언해를 발간하여 민간에 널리 보급하기도 하였다.


신아일보는 어제부터 ‘소학과 함께 떠나는 한자여행’을 신설했다.

기본이 흔들리고 해석이 분분할 때일수록 기초를 튼튼히하는 소학 공부가 더욱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