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경제 살리기에 나서야 한다
실물경제 살리기에 나서야 한다
  • .
  • 승인 2008.11.03 16: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동성 위기에 몰린 건설 업체의 연쇄부도 가능성이 실물경제와 금융부분이 최대 현안으로 떠올랐다.

특히 건설을 비롯해 철강 석유화학등 경기에 민감한 산업의 경영난이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건설업체의 경우 올 들어 9개월동안 251개(전년동기 대비 47.6%증가) 회사가 문을 닫았다.

중견 업체인 신성건설이 지난 10월 말 1차 부도위기를 겨우 넘길 정도로 심상치 않았다.

중소 중견기업들의 경영난은 글로벌 금융 위기의 충격 때문이다.

하지만 과잉 투자와 공급과잉에서 비롯된 측면이 강하다.

건설 업체만 하더라도 외환위기 때에 비해 무려 4배로 늘러났다.

경제는 국내외 할 것 없이 앞으로 상당기간 동안 나아지기 어렵다.

한계기업의 경영난은 더욱 가중 될 가능성이 높아 파장을 최소화 하기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정부가 건설업체 부도에 이은 협력 업체의 연쇄도산을 방지하는 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부동산 시장의 경착륙만을 막아야 한다는 정부의 고육지책에서 협력 업체의 빚 상환 유예, 이자감면, 운영자금 대출 등이다.

뿐만 아니다 해외에서 진행 중인 건설공사에 대한 대체로 공정률이 50%를 넘으면 발주처와 협의해 공사를 진행 시킨 다는 것이다.

협력업체 입장에서는 획기적인 대책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이 도덕적 해이를 부추겨서는 곤란하다.

건설 업체의 체질을 강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건설업체의 경영이 심각 한 수준인 것은 사실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9월 건설 수주는 1년 전보다 40% 줄었다.

정부가 건설 관련 지출을 대폭 늘린 덕에 그나마 감소 폭이 줄어 든 게 이 정도다.

미분양 주택은 16만 가구에 이른다.

업계에서는 신고 되지 않은 미분양까지 합할 경우 30만 가구가 넘을 것으로 추산할 정도다.

시장이 얼어붙으니 부도업체도 급증 할 뿐이다 건설업체와 협력업체의 줄 도산은 그것 자체만 으로도 어려운 상황이지만 금융 시장에 까지 여파가 밀려 올수 있어 문제다.

특히 금융 회사들이 최근 몇년간 경쟁적으로 취급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PF)금융의 부실 우려다.

지난 6월말 기준으로 PF 규모는 97조1000억원에 이른다.

은행권 PF 대출 연체율도 0.64%에 불과하지만 저축 은행 은 14.3%에 이른다.

건설업계의 파국은 막아야한다.

그러나 경영 위기를 겪고 있는 건설업체들이 정부의 지원만 바라보게 해서는 안 된다.

부실과 경영이 원인인 업체는 이번 기회에 과감히 퇴출 시켜야 한다.

체력을 다진 계기로 삼고 한편 멀쩡한 회사로 불똥이 튀는 일은 막아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