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희의 P.S⑥] 실내 마스크 권고…감기약 품절 대비 필요
[김소희의 P.S⑥] 실내 마스크 권고…감기약 품절 대비 필요
  • 김소희 기자
  • 승인 2023.02.02 0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반 확진자 증가 가능성…수급 안정화 위한 원료약 자급률 제고 강조

‘김소희의 P.S’는 정부가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 낙점한 제약바이오 산업 전반을 둘러싼 다양한 이슈 스토리를 다루는 코너다. 이슈의 시작과 의미, 배경과 전망을 담는다. 목요일, 새로운 제약바이오 스토리로 독자들을 찾는다. P.S는 Pharma(ceutical) Story의 약자면서 추신(postscript)의 약자다. <편집자주>

 

코로나19의 위험률이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때와 비교해 엔데믹(풍토병화)으로 전환 후 크게 낮아졌다.

정부는 이에 지난달 30일자로 대중교통이나 의료시설 등 일부를 제외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했다. 지난해 9월26일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약 4개월 만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마스크 해제에 따른 부작용으로 일시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고 아세트아미노펜으로 대표되는 감기약 수급이 불안정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오미크론 변이 유행 당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감기약 수요 또한 폭증했다. 정부가 경증 코로나19 확진자라면 휴식을 취하면서 상황에 따라 시중에 판매 중인 감기약을 복용하라고 권고했기 때문이다. 당시 제약사들이 공장을 풀가동했음에도 수요를 대응하는 데는 어려움이 많았다.

정부는 이후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감기약 수급 안정화 노력을 이어갔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12월 조제용 아세트아미노펜을 공중보건 위기대응 의약품으로 지정하고 국내 18개 제약사에 올해 4월까지 긴급 생산·수입 명령을 내렸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11월 제약사들에 조제용 아세트아미노펜 공급량을 월평균 50% 이상씩 추가 공급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따라 제약사들은 올해 11월까지 아세트아미노펜 공급량을 기존 총 4500만정에서 총 6760만정으로 늘려야 한다. 올해 4월까지로 설정된 집중관리기간 동안에는 최대 7200만정까지 공급량을 확대해야 한다. 복지부는 또 아세트아미노펜의 건강보험 약가를 1정당 50~51원에서 올해 11월까지 70~90원대로 인상했다. 12월부터는 70원으로 조정된다. 복지부는 아울러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처방된 아세트아미노펜의 경우 특정기간에 한해 ‘사용량 약가 연동제(사용량이 일정 비율 증가하면 약가를 인하하는 제도)’ 대상품목에서 제외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정부는 감기약 유통현황을 집중 모니터링하며 공중보건 위기대응 차원에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감기약 구매 제한 등을 즉시 실행한다는 계획이다.

업계는 이번 아세트아미노펜으로 대표되는 감기약 수급 불균형을 초래한 근본 원인으로 ‘낮은 원료의약품 자급률’을 지목하면서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아세트아미노펜 원료의약품의 80%가량은 중국에서 수입된다. 중국 정부의 수출금지 등 언제든 원료의약품 확보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의미다. 더욱이 우리 정부가 중국발 입국자 단기비자 발급 제한과 입국 시 코로나19 검사 의무 조치를 시행하면서 중국과의 관계가 그리 좋지 않은 상황이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처럼 중국 정부가 한국에 원료의약품 수출금지를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지난달 30일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한 국가가 의약품·백신을 자력으로 개발·생산·공급하는 역량을 갖추지 못할 때 국민건강·보건안보를 지킬 수 없다”며 “보건안보가 최우선시 되는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제약주권 핵심 지표인 의약품·백신 자급률 향상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ksh333@shinailbo.co.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