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익은 보험금 청구 서비스…너도나도 일단 강행
설익은 보험금 청구 서비스…너도나도 일단 강행
  • 김보람 기자
  • 승인 2022.03.20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 찍어 전송 기존 동일…발목 잡는 보험업법 여전히 계류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보험사들은 보험금 청구 간소화 서비스를 강행하고 있지만 실효성은 여전히 아쉽다. 보험사별 가입자와 제휴 병원 등만 한정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각사는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트렌드와 금융업 디지털 전환에 발 맞춰 자구책을 마련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손의료보험(이하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를 골자로 한 보험업법 개정은 의료계 반대에 막혀 13년째 국회 계류 중이다. 

2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사마다 보험금 청구 간소화 서비스를 속속 제공하고 있지만 서비스 일원화까지는 갈 길은 멀다. 서비스가 해당 보험사 가입자와 제휴병원에 한하고, 무엇보다 사진을 찍어 전송하는 형태는 기존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카카오페이의 경우 현재 보험금 청구를 할 수 있는 보험사는 손해보험사 17개, 생명보험사 22개다. 추가 서류를 요청할 수 있는 제휴 병원은 강남 차병원 등을 비롯해 50여개 병원까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삼성화재, DB손해보험 등 손해보험사들과 교보생명, 미래에셋생명, DGB생명, NH농협생명 등 생명보험사들은 레몬헬스케어·지앤넷·메디블록 등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과 제휴를 통해 실손보험 간편 청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과 제휴한 보험사의 청구 방법은 자체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의료기관과 보험사 간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식이다. 이용자는 해당 앱과 제휴한 병원과 보험사의 보험금 청구 관련 서류를 사진을 찍어 일괄적으로 전송, 청구할 수 있다. 

다만, 여전히 보험 가입자가 직접 병원에서 보험금 청구 필요서류(영수증·진료비 세부내역서 등)를 구비해 보험사에 방문하거나 팩스·이메일·모바일 앱 등으로 청구해야 하는 불편은 이어지고 있다.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를 골자로 한 보험업법 개정이 개인정보 유출 우려 등을 이유로 의료계 반대에 막혀 13년째 국회 계류 중이기 때문이다.
보험업법 개정은 의료기관에서 소비자 동의하에 보험사로 관련 서류를 바로 전송하는 방식이 담겼다. 

소비자는 보험금 청구에 불편함이 해소되고 보험사는 청구 심사에 드는 인력과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병원 등 의료기관 역시 불필요한 종이 서류 사용과 발급을 줄이고 효율적인 진료비 수납 시스템을 마련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성희 보험연구원 실장은 "보험사들이 보험금 청구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지만, 약국을 포함한 9만여개의 관련 기관 모두를 포용하는 것이 아닌 이상 실효성은 미미하다"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확산되고 그에 따른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 편의를 위한 자구책으로 선보인 서비스는 표준화돼 있지 않아 제도화를 위한 통합도 어려운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의료계가 청구 전산화를 청구 대행으로 오인하고 있는데 종이 서류 형태를 디지털 형태로 전달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야 한다"며 "의료계가 우려하고 있는 개인 정보 유출은 종이 서류가 폐기 과정 등이 되레 유출 우려가 더 크다"고 주장했다.

qhfka7187@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