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지주사 체제 전환…최정우 "친환경 소재 그룹 도약"
포스코, 지주사 체제 전환…최정우 "친환경 소재 그룹 도약"
  • 이성은 기자
  • 승인 2022.01.28 12: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1년 만에 홀딩스 이하 계열 구조 재편…균형성장·기업가치 제고 방점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28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의장 인사를 하는 모습. [사진=포스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28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의장 인사를 하는 모습. [사진=포스코]

포스코는 최정우 회장을 중심으로 물적 분할 방식의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완성했다. 지난 2000년 10월 민영화 이후 21년 만의 변화다. 포스코는 철강 전문회사라는 기업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미래소재 전문그룹으로 도약할 방침이다.

포스코는 28일 오전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지주사 체제 전환 안건을 가결했다.

이번 임시 주총에는 의결권 있는 주식 수 기준 75.6%의 주주가 의결권을 행사했다. 안건은 출석주주 89.2%의 찬성율로 가결됐다. 주총에서 안건이 승인되려면 주식의 3분의 1 이상, 주총 참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이번 안건 가결에 따라 기존 포스코는 지주사 포스코홀딩스(존속)와 철강사업회사 포스코(신설)로 나뉜다.

포스코홀딩스는 상장사로 오는 3월2일 출범한다. 포스코홀딩스는 그룹의 미래 포트폴리오 개발, 그룹 사업 개편과 시너지 확보, 그룹 전반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이끈다.

물적 분할 후 신설되는 지주사의 100% 자회사인 포스코는 비상장법인으로 철강 생산·판매에 대한 일체 사업을 영위한다. 사명은 포스코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그룹 지배구조는 포스코홀딩스를 최상단에 두고 포스코(철강), 포스코케미칼(이차전지소재), 포스코에너지(에너지), 포스코인터내셔널(식량), 포스코건설(건축·인프라) 등 자회사가 배치된다.

포스코그룹은 지주사 체제 전환을 확정하며 기존 철강 중심 회사 이미지를 벗어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기존 철강사업 외에 이차전지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 등을 그룹의 핵심 기반사업으로 키운다.

포스코그룹은 이번 지주사 체제 전환을 계기로 균형 있는 성장체제를 구축하고 미래를 선도하는 친환경 미래소재 전문 그룹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최정우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저탄소·친환경 시대로 대전환, 기술혁신 가속화, ESG경영 강화 등 급변하는 경영환경 하에서 그룹의 균형 성장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지주사 체제 전환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주사 체제 전환 안건 가결 이후 “포스코그룹 미래 비전에 대한 국내외 주주들의 지지와 확신에 감사드린다”며 “지난 반세기의 도전과 성공을 토대로 포스코그룹 모든 임직원들은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100년 기업 포스코의 지속 성장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9월말 기준 포스코 지분 9.75%를 보유한 최대주주 국민연금은 지난 24일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 회의를 열고 포스코의 지주사 체제 전환에 찬성하기로 했다.

이차전지 등 포스코그룹의 새로운 성장 가능성과 철강 자회사의 비상장 의지를 자회사 정관에 반영한 점 등을 고려한 결정이었다.

반면 포스코의 지주사 체제 전환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컸다. 이날 포스코센터 앞에는 포항 시민단체, 전국금속노동조합 등이 포스코의 지주사 체제 전환 계획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포항 시민단체, 포항시의회, 경북도의회 등은 “포항시민의 희생으로 성장한 포스코가 포항시민을 무시하고 국가균형발전에 역행하는 행위를 하고 있다”며 “포스코홀딩스와 미래기술연구원을 포항에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속노조는 지난 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노동자 사망 사고를 언급하며 “최정우 회장에게 무소불위의 권한을 부여하면서 정작 기업의 사회 책임은 비켜 가는 포스코 지주사 전환은 막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지주사 체제의 포스코는 불법파견 등의 책임을 피하려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selee@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