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정지선의 '메타버스' 도전…현대百, 디지털 역량 강화 '속도'
[단독] 정지선의 '메타버스' 도전…현대百, 디지털 역량 강화 '속도'
  • 김소희 기자
  • 승인 2022.01.18 13: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메타 현대·메타현대백화점·메타 더 현대 서울' 상표권 출원
메타버스 활용 행사·홍보·전시·체험 등 콘텐츠 경쟁력 제고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왼쪽)과 최근 특허청에 출원된 현대백화점그룹의 메타버스 관련 상표권 3종(오른쪽).[사진·이미지=현대백화점그룹·특허청]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왼쪽)과 최근 특허청에 출원된 현대백화점그룹의 메타버스 관련 상표권 3종(오른쪽).[사진·이미지=현대백화점그룹·특허청]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은 코로나19로 비대면이 핵심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은 가운데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디지털·온라인 역량을 강화한다.

메타버스는 가공·추상을 뜻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 접목한 초연결·초실감 디지털 세계를 의미한다.

현대백화점은 영위 중인 사업들의 콘텐츠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전략으로 메타버스를 낙점하고 상표권 확보 등 관련시장 선점을 위한 본격적인 채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전 세계 메타버스 시장이 2025년까지 2800억달러(약 315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18일 특허청과 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은 이달 6일 ‘현대백화점 META HYUNDAI’·‘메타현대백화점 META THE HYUNDAI’·‘META THE HYUNDAI SEOUL’ 등 총 3개의 상표권을 출원했다.

해당 상표권들의 상품 분류는 △음향 또는 영상의 기록, 전송 또는 재생용 장치 등(9류) △광고업, 사업관리업 등(35류) △통신업(38류) △교육업, 연예오락업 등(41류) △과학적·기술적 서비스업 등(42류) 등으로 구성됐다.

지정상품으로는 △3차원 뷰어·디스플레이 디자인업 △가상현실·증강현실 소프트웨어 △멀티 터치스크린 △가상현실 세계에서의 보석·가방·신발·선글라스 등 판매대행업 △가상 현실세계에서의 교육행사조직업·미술관운영업·박물관서비스업·유아교육지도업 △가상현실세계에서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생성 △온라인 가상세계 접속업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커뮤니티 서비스업 △쌍방향 비디오텍스트 서비스업 △쌍방향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개발업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 제공업 등이 등록됐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현재 새로운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 관련 상표권 선점을 위해서 등록 추진 중”이라면서도 “어떻게 전개할지는 미정”이라고 말했다.

업계 안팎에선 현대백화점이 그간 비대면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디지털·온라인 역량을 강화해온 만큼 이번 상표권 출원을 시작으로 새로운 소비자 경험을 제시하기 위한 다양한 IT(정보통신) 신기술을 유통채널에 적극 접목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실제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5월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휴대폰으로 판교점 지하 1층부터 10층의 50여곳의 매장을 360도로 둘러볼 수 있는 ‘VR 판교랜드’를 선보였다. VR화면 내 화살표를 터치하면 매장이동을 수 있고 일부 브랜드는 별도의 VR쇼룸을 운영하며 구매도 도왔다.

같은 해 9월엔 백화점 업계 처음으로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스페이스원에 위치한 모카가든 전시 작품을 그대로 옮겨놓은 3차원 가상 체험 공간 ‘메타버스 모카가든’을 오픈했다. 이곳에선 문화·예술 작품 경험과 사용자 간 소통 등이 가능하다.

또 10월에는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송도점을 재현한 온라인 관광상품 홍보관 ‘인천 트래블 마켓’을 열었다. 11월에는 현대백화점면세점 무역센터점 오픈 3주년 기념 이벤트로 메타버스에 ‘현대백화점면세점 월드’를 꾸몄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대백화점에) 메타버스는 1020 Z세대를 겨냥한 마케팅 플랫폼으로 브랜드 친숙도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경험 전달에 주효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오프라인 소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현대백화점뿐만 아니라 주요 유통기업들도 메타버스를 접목한 콘텐츠로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일례로 롯데백화점과 롯데홈쇼핑은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 구축과 사업 추진을 위한 전문가들과의 기술개발 협업을 진행 중이다. BGF리테일은 업계 첫 메타버스 편의점으로 Z세대와의 접점을 넓혔고, GS리테일은 GS샵 방송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메타버스 공장 투어 서비스를 제공했다.

현대백화점그룹이 2021년에 선보였던 메타버스 서비스인 메타버스 모카가든(위)과 현대백화점면세점 월드(아래).[이미지=현대백화점그룹]
현대백화점그룹이 2021년에 선보였던 메타버스 서비스인 메타버스 모카가든(위)과 현대백화점면세점 월드(아래).[이미지=현대백화점그룹]

[신아일보] 김소희 기자

ksh333@shinailbo.co.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