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역벤션 극복' 尹 '컨벤션 끝물'… 지지율 격차 '0.5%p'
李 '역벤션 극복' 尹 '컨벤션 끝물'… 지지율 격차 '0.5%p'
  • 강민정 기자
  • 승인 2021.11.22 16: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지도 尹 5.6%p 급락 ↔ 李 7.1%p 급등… 왜
유권자 시각 文대통령→李로… 정권 교체 '주춤'
(서울=연합뉴스) 22일 오전 서울 광진구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열린 TV조선 글로벌리더스포럼2021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1.11.22 [국회사진기자단]
22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열린 TV조선 글로벌리더스포럼2021에 참석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지지율 정체 현상을 뚫고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주자를 맹렬히 추격해 지지율 격차를 대폭 줄인 내용의 여론조사 결과가 22일 공표돼 관심을 모은다. 아울러 대선 판도를 장악했던 정권 교체론은 수그러든 반면, 정권 재창출론은 치고 올라오면서 대선 판도가 요동치고 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이날 발표한 TBS의뢰로 지난 19~20일간 전국 성인 남녀 1007명에게 차기 대선후보 지지도를 물은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p) 결과에 따르면 윤 후보 지지도는 전주 대비 5.6%p 하락한 40.0%으로 집계됐다.

이 후보는 지난주 보다 7.1%p 급등한 39.5%를 기록하며 지지율 격차를 단숨에 '0.5%p' 차이로 좁혔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윤 후보의 컨벤션 효과 하향세와 이 후보의 역벤션 효과 탈피가 맞물린 결과라는게 전문가의 풀이다.

국민의힘 최종 대선후보 선출이 있던 5일 이후 처음 발표된 지난 8일 여론조사(KSOI, TBS 의뢰, 지난 5~6일 전국 성인 남녀 1009명,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p)에서 윤 후보는 43.0%, 이 후보는 31.2%의 지지율을 얻었다. 두 후보 간 지지율 격차는 11.8%p다.

당시 이처럼 지지율 격차가 크게 벌어진 배경에 대해서는 윤 후보가 당내 경선 과정에서 일어난 컨벤션 효과에 올라탔다는 분석이 우세했다.

이와 달리 이 후보 경우 당내 경선 과정에서 잡음을 빚으면서 오히려 지지율을 끌어 올리지 못하는 '역(逆)벤션 효과'에 부딪힌 상황이었다.  이후로도 지지율을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자 이 후보는 최근 거듭된 민생 행보와 당 선거대책위원회 쇄신론 등을 거듭 거론하는 등 지지율 답보세를 벗어나기 위한 노력에 몰두하고 있다.

박상철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두 요소가 동시에 반응하는 시기"라며 "이 후보가 집권당 후보로서 안정감을 찾았다"고 바라봤다. 다만 이것이 이 후보 지지율 상승세의 디딤돌로 작용할지는 향후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선거 구도에도 변화가 일었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46.8%, '정권 재창출을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42.1%로 나타났다. 두 의견 간 격차는 4.7%p다.
당초 정권 교체론 응답이 50%대에 육박했던 것과 비교하면 감소 추이를 보이는 상황이다.

박 교수는 "이전 '정권 교체론' 우세 현상은 문재인 대통령을 향한 것"이라며 "유권자 시각이 서서히 여권 후보로 옮겨 가며 정권 교체론 비중도 하락가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국민의힘 정당 지지도 역시 동반 하락했다. 이날 리얼미터 여론조사(YTN 의뢰, 지난 15~19일, 전국 성인 남녀 2517명,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2.0%p)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힘 정당 지지도는 전주 대비 1.3%p 내려간 41.2%를 나타냈다.

민주당은 지난 주보다 1.8%p 상승한 30.3%로 4주 만에 지지율 30%선을 복구했다. 이로써 양당 지지도 격차는 전주보다 3.1%p 좁혀진 10.9%를 기록했다.

향후 차기 대선후보 지지율 변수는 '정책'이라고 봤다. 박 교수는 "두 후보 모두 네거티브 선거를 펼치고 있는데, 앞으로 어떤 후보의 정책이 더 알맹이가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인용된 여론조사 관련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mjkang@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