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계, 금융불균형 완화 정책 대응 전략 필요
보험업계, 금융불균형 완화 정책 대응 전략 필요
  • 김보람 기자
  • 승인 2021.10.13 14: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험연구원, 저축성·투자성 보험 수요 등 점검 당부

정부의 금융불균형 완화 정책에 따라 보험사는 자산운용 및 자본관리 등의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조영현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불균형 완화 정책과 보험산업'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선 코로나19 이후 금융환경은 전례 없는 유동성 공급 정책으로 금융안정성은 높아졌지만 금융불균형이 심화됐다.  

금융불균형은 경제주체들의 위험 선호 강화에 따른 과도한 레버리지 확대 및 자산가격 상승을 의미한다. 금융불균형이 심화되면 경기 변동성이 확대되고 성장 잠재력 및 금융 안정성이 약화될 수 있다.

조 연구위원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주요 자산 가격이 모두 급등하며 역대 최고 수준"이라면서 "민간신용도 급증해 명목 GDP 대비 210% 규모로 역대 최고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의 금융불균형은 실물경제 충격이 있더라도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금융불균형이 더욱 심화될 경우 경제성장과 금융안정이 저해될 수 있음으로 금융당국과 중앙은행의 완화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금융불균형 완화를 위해 당국은 가계 대출 총량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단계적으로 인상할 가능성이 높은 상항이다. 실제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사상 최대 규모의 수출, 고용증가, 미국의 연내 테이퍼링 개시 가능성 증가, 백신 접종률 상승으로 인한 단계적 일상회복 등으로 연내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금융불균형 완화 정책은 자금흐름과 자산의 가격 및 리스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보험회사는 저축성 및 투자성 보험의 수요와 자산운용 및 자본관리 측면에서 대응 전략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선 가계 대출의 경우 신용대출 리스크를, 기업 대출의 경우 취약기업의 상환 능력을 주의 깊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

또, 기대수익률 제고를 위해 최근 수년간 확대했던 운용자산의 신용리스크를 축소하고, 장기 국공채 비중을 확대해 나아갈 시기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이밖에도 저축성보험 수요는 변화가 미미하고 변액보험 수요는 감소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출 제약에 의해 해지율이 상승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 연구위원은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응해 해외 대체투자에 대한 리스크도 주의 깊게 점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금리 상승에 의해 RBC 비율 하락이 예상되며, 자본성 증권 발행으로 지급 여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는 회사는 신속하게 발행을 추진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전망했다. 

qhfka7187@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