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보충수업, 학력저하 돌파구 될까
[기자수첩] 보충수업, 학력저하 돌파구 될까
  • 권나연 기자
  • 승인 2021.08.05 10: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학생들의 수난도 계속되고 있다.

학생들은 지난해 사상 첫 온라인 개학이 시행되며 혼란을 겪었고, 온라인 수업 장기화로 학생들의 학습 격차 등의 문제가 대두됐다.

이에 교육부는 ‘2학기 전면 등교 수업’ 원칙을 제시하고 ‘교육회복 종합방안’도 발표하며 공교육 회복에 나섰다. 하지만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전국화 양상으로 치달으면서 등교 수업도 불분명해진 상황이다.

교육부는 전국 시‧도교육감과 간담회를 열고 거리두기 4단계가 지속돼도 등교수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지만, 각 학교별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온라인 수업 병행은 사실상 불가피해 보인다.

그렇다면 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교육회복 종합방안’은 학생들이 직면한 학습격차와 교육 불균형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까.

이 방안에 따르면 2학기부터 내년까지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 178명은 방과 후나 방학 중에 보충학습을 받을 수 있다. 전체 초중고교 학생이 534명인 점을 고려하면 전체의 33.3%, 즉 하위권 학생 3분의 1만 보충 수업을 받을 수 있는 셈이다.

이로 인해 중상위권 학생들은 하위권 학생들보다 성적이 우수하다는 이유로 ‘교육 회복 대책’에서 배제되는 결과가 초래됐다. 지난 6월 교육부가 발표한 ‘2020년 국가수준 학업정취도평가’에 따르면, 학력 저하는 하위권 학생 뿐아니라 중상위권 학생 모두에게 나타난 현상임에도 말이다.

하위권 학생들은 어떨까. ‘기초학력 미달’로 나머지 공부를 한다는 시선을 받을 수 있는 이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까. 교육부가 보충 수업 대상을 시험 결과가 아닌 교사의 진단과 학생 희망에 따라 정하도록 하고 있어 학생들의 적극적인 의지가 없다면 제도는 무용지물이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교육 효과가 불분명하다는 데 있다. 보충수업에 편성된 5700억원을 계산해 보면 학생들은 1인당 16주(4개월)간 매주 2차의 수업을 받게 된다. 매주 2시간씩 진행되는 수업이 얼마나 큰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지 의문이다.

현재 학생들의 학력 수준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데는 누구나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전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시험을 통해 학력 수준을 정확히 진단해야 한다.

그리고 이 진단을 토대로 등교 개학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수업을 보완할 수 있는, 균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신아일보] 권나연 기자

kny0621@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