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칼럼] 이제 더 미룰 수 없는 ESG 경영
[기고 칼럼] 이제 더 미룰 수 없는 ESG 경영
  • 이승용 동반성장위원회 전문위원
  • 승인 2021.07.30 06: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해’가 된 듯하다. 정부가 직접 나서서 ESG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기업들도 ESG 원년을 선포하며 조직 변경과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학과 언론사를 중심으로 ESG와 관련된 교육과정과 포럼도 연이어 개최되고 있다.

이러한 ESG의 대대적인 확산에 대해서는 긍정적 반응과 부정적 평가가 교차한다. 기업과 관련된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를 적절히 변화시켜 지속성을 높인다는 면에서는 긍정적이지만, 다양하고 복잡한 평가과정을 이해하고 조직을 변경하며, 컨설팅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담스러워하는 반응도 있다.

ESG는 한때 지나가는 바람일 뿐이며 평가 기관이나 컨설팅 회사들의 돈벌이 수단이라는 극단적인 비판도 있다.

하지만 ESG의 바람은 단기간에 끝날 것 같지 않다. ESG는 세계 인권 선언,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지속가능 비즈니스, CSR, CSV라는 다양한 이름으로 수행되어온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연장선상에 있다. ESG를 2004년 UN의 지속가능투자 방침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응답에서 시작했다고 본다면 16년이나 되는 역사를 가진 셈이다.

1948년 UN 세계인권선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면 70년이 넘는 도도한 시대의 흐름이다. 과거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청이 권유 수준에 머물렀지만, 최근 들어서는 배출가스 규제, 탄소세 도입과 같이 구체적인 행동과 비용을 요구하는 적극적인 모습으로 변하고 있다.

최근 ESG와 관련된 대표적 논란은 수출품의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탄소 발생량을 줄이려는 탄소세 문제다. 지난 14일 EU 집행위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55% 절감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EU는 탄소국경조정매커니즘, 즉 탄소세를 도입하며 당장 2023년부터 EU로 수출하는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배출량 신고를 명문화했다.

탄소국경조정매커니즘이란 특정 제품을 수출국에서 생산하는 경우 발생한 탄소가 수입국에서 직접 생산하는 경우보다 많으면 그 차이에 대한 인증서를 구매하는 형태로 탄소세를 부과하는 것을 말한다.

그동안 탄소배출권이 기업 간 거래에 한정됐다면, 탄소세는 국가가 직접 나서서 무분별한 탄소발생에 대해서 세금을 부과해 탄소발생량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실제 부과는 2026년부터 시작되지만 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비료, 전력 분야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분야 수출 기업들을 긴장하게 하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탄소배출이 많은 것으로 알려진 자동차, 선박, 석유화학, 정유 업종 등으로 세금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EU에 이어 미국도 민주당을 중심으로 탄소세 부과와 관련된 법안을 또다시 준비하고 있어서 탄소세에 대한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

탄소세의 경우에서 보듯이 이제 ESG 경영을 하지 않으면 기업의 지속가능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 ESG 때문에 기업이 하루아침에 몰락할 수도 있는 상황이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CSR을 열심히 해온 기업들조차 현재의 ESG는 부담스럽다. 그 이유는 그동안 CSR 중에서 비교적 비용이 적게 들고 홍보 효과가 좋은 기부나 연탄 나르기, 김장하기 같은 사회공헌활동(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CSC)에만 치중했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다양한 CSR 중에서 쉬운 과목 하나만 열심히 공부했던 것이다. 그런데 ESG는 시험과목을 환경, 사회, 지배구조로 확대했고 구체적인 행동까지 요구하고 있다. 기업들이 ESG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신속한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더욱 커지고 있다.

코로나19와 글로벌 경쟁의 격화로 모두 어려운 시대에 기업 간 동반성장이라는 관점에서 협력중소기업의 ESG 활동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탄소세는 환경 분야만의 문제가 아니라 수출 협력업체와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이슈이기 때문이다. 기업의 지속가능성장을 위해 기업 간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을 추구한다는 면에서 올해가 동반성장 ESG의 원년으로 기억될 수도 있기를 기대한다.

/이승용 동반성장위원회 전문위원

※ 외부 기고는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master@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