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코로나19 백신 개발, 정부 재정지원 절실
[기자수첩] 코로나19 백신 개발, 정부 재정지원 절실
  • 김소희 기자
  • 승인 2021.07.20 12: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들은 방역지침을 완화하고 일상으로의 회복을 꾀하는 분위기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올해 5월 백신 접종을 완료한 경우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고 발표했다. 미국인 중 백신 접종을 1회라도 한 18세 이상 성인 비율은 7월3일까지 67%에 달했다.

영국은 이달 19일부터 마스크 착용 의무화,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조치가 해제됐다. 영국의 백신 접종률은 1차가 70%, 2차가 54%로 각각 집계됐다.

물론 수만명의 일일 확진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성급하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만큼 충분히 백신을 확보했고 다수의 국민이 백신을 접종했다는 데 대한 자신감이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미국 모더나·화이자·얀센·노바백스,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등이 각각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면서 해당 국가의 백신 보급·접종 속도가 빨랐다.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똑같은 팬데믹 속에서 어떻게 이들 제약사가 신속히 백신을 개발해 상용화할 수 있었냐는 점이다. 이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뒷받침됐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Operation Warp Speed(초고속작전)’를 가동, 총 180억달러를 투입했다. 화이자와 백신을 공동 개발한 바이오엔테크가 소재한 독일도 2억3000만유로 이상을 투자했다.

하지만 우리나라 정부의 지원은 백신 확보의 시급성 등에 비춰봤을 때 턱없이 부족하다.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임상 지원에 책정한 예산은 지난해 490억원, 올해 본예산과 1차 추경 687억원(예비비 포함), 2차 추경 980억원 등 지금까지 총 2157억원에 불과하다. 이마저 백신 임상 3상에 돌입한 경우에만 받을 수 있다.

반면 최근 결성된 ‘차세대 mRNA 백신 플랫폼 기술 컨소시엄’의 주축 기업인 에스티팜·한미약품·GC녹십자 등 3개사가 임상과 핵심원료, 대량생산설비 구축 등에 투자하겠다고 밝힌 규모만 7000억원 이상이다.

정부가 진정으로 국민건강·공중보건을 생각하고 백신 자급화에 대한 의지가 확고하다면 긴급사용승인 등의 제도적인 지원과 함께 미국·독일 정부와 같은 전폭적이고 확실한 재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 ‘계약된 대로 백신이 들어오면 문제없다’는 변명을 하기보다는 국산 백신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는 예산 확보·투입이 우선임을 명심해야 한다.

ksh333@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