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기술 확보하라'…정부, 2025년까지 2000억원 투입
'6G 기술 확보하라'…정부, 2025년까지 2000억원 투입
  • 장민제 기자
  • 승인 2021.06.23 14: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관 협력 6G R&D 실행계획 마련, 3대 전략분야 구체화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왼쪽)이 23일 열린 민‧관 합동 ‘6G 전략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과기정통부]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왼쪽)이 23일 열린 민‧관 합동 ‘6G 전략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과기정통부]

정부는 미래 신산업의 성장기반인 6세대(G) 통신기술 선점에 본격 착수한다. 2025년까지 2000억원을 들여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국제표준·특허 선점, 연구·산업기반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은 23일 열린 민‧관 합동 ‘6G 전략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6G R&D 실행계획’을 공개하며 “6G 시대에서도 우리의 디지털 우위를 유지하고 전 산업에 걸친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올해부터 본격적인 이행에 돌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6G R&D 실행계획’은 ‘세계 최고 6G 기술강국’ 구현을 목적으로 마련한 3대 전략분야의 세부실행계획을 담고 있다. 3대 전략분야는 △차세대 핵심 원천 기술 확보 △국제표준·특허 선점 △연구·산업 기반조성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우선 민간이 적극적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저궤도 통신위성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등 6대 중점 분야 10대 전략 기술에 2025년까지 총 2000억원을 투자한다. 올해 기준으론 12개 과제에 179억원이 투입된다.

특히 이동 중인 비행체(플라잉카, 드론 등)와 해상·재난지역서도 기가비피에스(Gbps)급 통신이 가능하도록 위성‧지상망 통합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위성‧지상 간 통합 접속기술을 개발하고 2031년까지 총 14기의 검증용·실증용 저궤도 위성을 발사하는 전략도 병행한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올해 기술요구사항을 정립하고 내년엔 요소기술 설계·구현이 목표다. 이어 2023년 요소기술을 고도화하고 2024년 핵심기술간 연계/테스트, 2025년 핵심기술 안정·최적화를 추진한다.

또, 해외 주요국들과 공조체계 마련을 위해 미국(NSF), 중국(CAICT), 핀란드(오울루대) 등과 6G 핵심기술에 대한 공동연구와 6G 주파수의 국제협력을 추진한다.

6G 국제표준화와 관련해선 우리나라에서 ITU(국제전기통신연합) 6G 비전그룹 작업 의장과 3GPP RAN1(물리계층) 의장에 진출한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국제표준 선도를 위해 표준화의 밑그림 격인 6G 비전 정립단계부터 우리나라가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담았다.

또 지난해 특허청과 협력해 선정한 6G 핵심기술 2건에 대해선 올해부터 R&D 자금과 특허확보 전략맵을 지원한다. 아울러 내년 패키지 지원을 위한 기술 분야도 추가로 선정해 사전에 전략맵을 구축키로 했다.

정부는 튼튼한 연구·산업 기반 조성도 추진한다. 올해 3개 대학 내 6G 연구센터를 지정·운영하면서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유도한다. 또 국내 중소·중견기업과 국내 대학·연구소가 공동으로 R&D에 참여하는 형태를 확대하며 실무인력의 6G 역량 강화도 촉진키로 결정했다.

jangstag@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