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서 위상 강화하는 문 대통령… 동아시아 관계는 '난감'
유럽서 위상 강화하는 문 대통령… 동아시아 관계는 '난감'
  • 석대성 기자
  • 승인 2021.06.16 0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국→오스트리아→스페인… 文, 광폭 행보 맞춰 성과도
북·중·일과는 여전히 신경전… 먼저 손 내밀지만 '거부감'
G7 정상회의 참석차 영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오후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에서 코로나19 백신 공급 확대 및 보건 역량 강화 방안을 다룰 확대회의 1세션에 참석해 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문 대통령, 영국 보리스 존슨 총리, 미국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캐나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 일본 스가 요시히데 총리. (사진=연합뉴스)
G7 정상회의 참석차 영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오후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에서 코로나19 백신 공급 확대 및 보건 역량 강화 방안을 다룰 확대회의 1세션에 참석해 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문 대통령, 영국 보리스 존슨 총리, 미국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캐나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 일본 스가 요시히데 총리.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이어 오스트리아·스페인 국빈 방문에서 성과를 가져오면서 유럽 공략에 선방했다는 평가다. 다만 북한·일본·중국 등과의 동아시아 정세와 관련해선 여전히 긴장감이 흐르는 실정이다.

문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국빈방문 일정을 마치고 비엔나 국제공항을 떠나 스페인 바라하스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문 대통령은 공식환영식에 이어 마드리드 시청 방문과 펠리페 6세 국왕의 국빈만찬 일정을 소화했다.

17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일정에서 문 대통령은 페드로 산체스 총리와의 회담과 마드리드·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경제인 행사 등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특히 오스트리아에서 과학기술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면 스페인에선 양국 해외 건설시장 공동 진출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2년 연속 G7에 초청 받은 데 이어 오스트리아와는 수교 이후 처음으로 방문한 한국 대통령으로서 외교력을 강화했다. 또 스페인 입장에선 코로나19 사태 후 처음으로 맞이하는 국빈으로 문 대통령을 택해 유럽에서의 한국 위상을 높이고 있단 의견이 나온다.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지난 11일 오후(현지시간) 영국 콘월 뉴키 공항에 도착, 환영 인사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청와대)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지난 11일 오후(현지시간) 영국 콘월 뉴키 공항에 도착, 환영 인사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청와대)

다만 동아시아 이웃 국가와는 신경전이 여전하다. 문 대통령은 일단 오스트리아 국빈방문 때 알렉산더 판 데어 벨렌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한국이 글로벌 백신 허브 역할을 할 경우 북한도 당연히 협력 대상이 된다"며 "북한이 동의한다면 북한에 대한 백신 공급 협력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북한과의 관계 개선 여부를 두고 사실상 먼저 손을 내민 것이란 해석이다.

하지만 북한이 이에 반응할진 아직 미지수다. 특히 이날은 6·15 남북공동선언 21주년이었지만, 남북 모두 말을 아끼기도 했다.

일본에선 정부와 언론이 도쿄 올림픽과 맞물린 문 대통령의 현지 방문 여부를 두고 왈가왈부하고 있다. 일본의 한 언론은 한국 측이 먼저 타진해 일본 측이 받아들일 것이란 내용을 보도했지만, 현지 정부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하고 있다.

사실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한일 관계에 대해선 일본이 계속해서 거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 한일 양국은 G7 때 약식 정상회담을 실시하기로 합의했지만, 일본 측은 한국 군·경의 동해영토 수호훈련 계획에 항의한다는 명분으로 일방적으로 회담에 응하지 않겠다고 기치를 선회한 것으로 전해진다. 일본은 또 가토 가쓰노부 관방장관을 통해 독도 영유권을 되풀이하고 있는 상황이라 관계 개선은 쉽지 않다는 게 외교계 중론이다.

줄타기 외교로 인한 중국과의 관계 악화 우려도 커지고 있다. G7은 공동성명을 통해 중국을 둘러싼 외교 문제를 직격했고, 중국은 곧바로 "사실을 왜곡하고 흑백을 전도했다"며 "내정간섭과 명예훼손, 이익침해를 용납할 수 없다"고 대립각을 세웠다.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중국의 역항을 무시할 수 없는 만큼 한국 정부는 곤혹스런 처지에 놓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bigstar@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