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칼럼] 저출산 이야기 43 - 우리나라 인구증가의 역사
[기고 칼럼] 저출산 이야기 43 - 우리나라 인구증가의 역사
  • 신아일보
  • 승인 2021.05.25 13: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민식 저출산문제연구소장
 

우리나라의 인구는 어떻게 변해왔을까?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인구는 30만명 정도로 추정된다. 고조선 시대에는 BC 7세기경에 벼가 유입됐으며, 이어서 밀과 콩이 들어왔다. 벼와 밀, 콩의 유입으로 인해 식량 생산량이 증가해 인구가 크게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조선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로서 치안을 확보해 인구 증가의 기틀을 다지게 된다.

새로 유입된 작물과 넓어진 영토 덕분에 삼국시대에는 인구가 650만명까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시대에는 보리가 유입된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대부분의 고구려 영토와 고구려 사람들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기간 전쟁이 없어 인구가 적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구가 400만명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 초기에는 후삼국 시대의 전쟁과 거란과의 전쟁으로 인구가 감소해 300만명 정도였으나, 몽고와의 전쟁이 끝난 고려 후기에는 400만명으로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몽고와의 전쟁이 끝나 사회가 안정됐으며 새로운 작물이 유입됐기 때문이다. 고려시대에는 배추, 수박, 상추, 생강, 목화 등의 작물이 유입된다. 특히, 목화는 서민들이 입을 수 있는 유일한 보온성 옷감으로 추위를 피할 수 있게 해주어 인구 증가에 크게 기여한다. 고려시대에는 송나라로부터 모내기가 도입돼 쌀 생산량이 증가한다.

조선의 세종 시대에는 인구가 크게 증가해 600만명에 이르게 된다. 농사기술의 보급으로 식량 생산량이 네 배나 증가한 덕분이다. 또한 몽고와의 전쟁 이후 200년 이상 전쟁이 없었기 때문이다.

1600년경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전염병 등으로 인구가 350만명 정도로 감소한다. 전쟁이 발발해 치안이 무너지자 강도와 도적이 횡행해 농사를 지을 수 없어 농업생산량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임진왜란 동안 인구의 절반이 굶어 죽었는데, 이것은 치안이 확보되지 않아 농사를 지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병자호란 후에는 인구가 서서히 증가해 1800년경에는 600만명 정도로 회복된다. 이것은 16세기 중엽에 유입된 옥수수, 1605년에 유입된 호박, 1764년에 유입된 고구마 덕분이다. 1824년에 유입된 감자는 1900년경에 전국적으로 재배돼 식량 증산에 크게 기여한다. 이들 새로운 작물 덕분에 1911년에는 인구가 1406만으로 증가한다. 

1900년 이후에는 축산업과 수산업도 발달하기 시작해 식량 생산은 더욱 증가한다. 철도 등의 교통이 좋아져 농수산물이 전국적으로 유통되게 된다. 특히, 바닷가로부터 생선이 내륙으로 운송돼 식량이 크게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식량 증가에 따라 1945년 인구는 2700만명으로 증가한다.

해방 후에는 남북한으로 분단돼 남한에는 1700만, 북한에는 1000만으로 나뉜다.

1950년대에는 전쟁으로 남한에서 100만명 정도가 사망했으며, 매우 가난했음에도 불구하고 인구가 빠르게 증가한다. 미국에서 많은 식량과 의약품을 지원했기 때문이다. 항생제 덕분에 병균에 의한 사망자가 감소했고, 1960년대까지 가장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빼앗아갔던 결핵의 치료제가 보급돼 결핵에 의한 사망자가 급감했기 때문이다. 1954년부터는 천연두, 결핵 등 7종의 백신이 보급돼 50% 정도였던 영유아 사망률이 급감한다. 그 결과 1955년부터 출생등록 아이의 수가 급증한다.

1960년대 이후에는 농업의 발달, 축산업의 발달, 수산업의 발달로 식량 생산량이 더욱 증가하고 식량의 수입도 크게 증가해 더 이상 식량 걱정이 없게 된다. 2018년 식량 수입은 전체 식량 소비량의 76%에 이른다. 의학도 눈부시게 발전하고, 범죄도 감소하며, 전쟁도 없어 2019년 인구는 5171만명에 이른다.

이렇게 빠르게 증가하던 우리나라의 인구는 2028년 5194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식량의 증가, 의학과 위생의 발달, 범죄의 감소에 따라 인구는 증가해왔는데, 현재는 식량이 남아돌고, 의학과 위생은 나날이 좋아지며, 사회는 더 없이 안전한데, 왜 인구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감소하는가? 무엇 때문에 결혼을 기피하고 아이를 낳지 않는가?

/김민식 저출산문제연구소장

※ 외부 기고는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master@shinailbo.co.kr